"정년 연장 찬성하세요?"...2030 직장인 반전 결과

10명 중 7명 찬성..."정년 연장 통념 깨져"

취업/HR/교육입력 :2025/11/19 13:05    수정: 2025/11/19 15:23

대표적 세대 갈등 이슈였던 ‘정년 연장’에 대한 통념이 깨진 것으로 보인다.

리멤버앤컴퍼니(각자대표 최재호·송기홍)는 자사 ‘리멤버 리서치’를 통해 직장인 1천3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년 연장 인식 조사’ 결과, 직장인 4명 중 3명(74%)이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정년 연장은 그동안 세대 간 이해관계가 극명하게 갈려온 대표적 ‘세대 갈등’ 이슈 중 하나로 꼽혀왔다. 하지만 이번 조사 결과, 찬성 의견이 '현행 유지(12.9%)’와 ‘정년 폐지(13.1%)’ 의견을 압도하며, 현업 직장인들의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리멤버, 세대 갈등 통념 깨졌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2030 청년 세대의 응답이다. 50대(77.9%)와 60대(80.8%)뿐 아니라, 20대(67.9%)와 30대(70.4%)에서도 압도적으로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이제는 청년 세대 역시 정년 연장을 더 이상 기성세대의 이익이 아닌, 자신의 미래와 직결된 세대적 과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정년 연장에 대한 공감대는 이상적인 정년을 묻는 문항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됐다.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 중 60.2%가 ‘만 63~65세’를 적절한 나이로 꼽았다. 이 응답은 모든 연령대에서 과반 이상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다만, 60대 이상 응답자들의 30.2%는 '만 66~69세'를 가장 적합한 정년으로 꼽으며, 다른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세대를 불문하고 직장인들이 정년 연장을 원하는 가장 큰 이유는 ‘미래 경제적 불안감’이었다. ‘노후 생활 안정(39.0%)’과 ‘국민연금 수급까지의 소득 공백(17.8%)’이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다. 세대별로 살펴보더라도 ‘노후 생활 안정’은 20대부터 50대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최우선 순위로 꼽혔다.

하지만 60대 이상의 답변은 달랐다. 이들은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더 활용하기 위해(29.7%)’를 1순위로 꼽았다. 이는 은퇴 시기가 가까워질수록 경제적 이유는 물론 자신의 가치를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기여하고 싶은 욕구가 강하게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정년 연장이라는 공감대는 형성됐지만,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선결과제’로는 세대별로 의견이 갈렸다. 특히, '공정성'과 '생산성' 문제에서 생각의 차이가 가장 뚜렷했다. 20대는 '성과/직무 중심의 임금 체계 개편'(28.6%)을 1순위로 꼽았고, 연공서열이 아닌 '공정성' 확보 자체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반면 40대(27.2%)와 50대(27.4%)는 '고령 인력의 생산성 유지를 위한 재교육'을 1순위로 꼽아, 조직의 '생산성' 저하를 현실적으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주대웅 리멤버 리서치사업실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정년 연장 논의의 초점이 세대 갈등이 아니라, 기존의 ‘인사·고용 시스템’을 어떻게 근본적으로 개편할 것인가 하는 논의가 이뤄져야 함을 명확히 보여줬다”면서 “리멤버 리서치는 앞으로도 500만 직장인 프로필에 기반한 독보적인 조사 역량을 바탕으로, 사회적 통념 이면에 있는 현장의 목소리를 정확하고 심도 있게 전할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리멤버 리서치’가 직장인 필수앱 ‘리멤버’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직장인 인식 기초 조사다. 급변하는 경제·고용 환경 속에서 세대별 직장인들의 인식 변화를 파악해 보고자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