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탈리티 AI 기업 온다(대표 오현석)가 자체 개발한 멀티모달 AI 모델을 허깅 페이스에 공개하며, 국내 숙박 산업에서 실증된 AI 기술력을 입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모델은 8천여 장의 자체 구축 객실 이미지 데이터셋과 한국어 특화 자연어처리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AI다. 서로 다른 공급사로부터 제공되는 객실 정보를 자동으로 표준화해 96.5%의 높은 정확도를 달성했다.
온라인여행플랫폼(OTA)을 비롯한 숙박 유통 플랫폼은 다수의 공급사로부터 동일 호텔의 객실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공급사마다 객실명 표기 방식이 상이해 심각한 데이터 불일치 문제가 발생한다.
온다 AI Lab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전 트랜스포머 기반의 이미지 분류 모델과 한국어 특화 언어모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설계했다.
이미지 모델은 침실, 거실, 욕실 등 객실 구성요소를 자동 인식하도록 학습됐다. 텍스트 모델은 '디럭스', '오션뷰', '얼리체크인' 등 숙박 도메인의 특화 용어의 의미를 분석하여 객실 유사도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또 두 모델의 출력값을 가중 융합해 최종 유사도 점수를 산출하는 앙상블 기법을 적용, 동일한 침대 이미지를 사용하나 뷰가 다른 객실처럼 단일 이미지나 텍스트로는 구분이 어려운 엣지 케이스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유지했다.
온다는 AI의 한계를 인정하고, 신뢰도 기반 하이브리드 워크플로우를 구축했다. 모델이 산출한 각 예측 결과에 신뢰도 점수를 부여하고, 설정된 기준 점수 이하의 케이스는 숙박 도메인 전문가가 최종 검토하는 AI-전문가 협업 구조를 도입해 실무 환경에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관련기사
- '서울 자가 대기업 김부장' 인사쟁이들은 이렇게 봤다2025.11.18
- 에이비앤비, 인스타카트와 ‘식료품 배달 기능’ 시범 운영2025.11.13
- NOL, ‘숙박세일 페스타’ 겨울편 참여…최대 8만원 할인2025.11.02
- 롯데호텔앤리조트, 기업 고객 전용 ‘모바일 통합 숙박권’ 출시2025.10.28
오현석 온다 대표는 "AI 시대에 진짜 경쟁력은 모델 자체가 아니라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는 양질의 도메인 데이터와 실무 적용 능력"이라며 "온다는 8년간 쌓아온 데이터와 호스피탈리티 산업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로 작동하는 AI를 만들 수 있는 몇 안 되는 기업"이라고 말했다.
온다는 향후 이 기술을 확장해 객실 어메니티 자동 인식, 뷰 타입 분류, 이미지 품질 평가 등 다양한 AI 기반 자동화 솔루션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