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은 놀랍도록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정작 한국 문화는 여전히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있다”
18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열린 2025 문화체육관광 인공지능 디지털혁신 포럼에서 한국문화정보원 이권수 팀장은 인공지능 시대의 문화데이터 구축 방향을 제시하며 이와 같이 말했다.
그는 문화 정체성 부재가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고 지적한 이권수 팀장은 “AI 기술은 놀랍도록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정작 한국 문화는 여전히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있다”라며 발표를 시작했다.
이 팀장은 생성형 AI의 전통문화 재현 오류 사례를 언급하며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나 첨성대처럼 대표적인 문화유산조차 1년째 제대로 그려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AI는 자신이 학습한 데이터로 세상을 이해하는데, 그 안에 한국의 맥락과 서사가 없으면 한국 문화를 인식할 방법이 없다”고 덧붙였다.
국내 모의 평가에서 일부 인공지능 모델이 국어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한 사례도 언급했다. 이 팀장은 “국어 점수는 언어적 이해뿐 아니라 문화적 이해가 결합돼야 나온다”며 “이 결과는 한국형 AI 개발의 필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화데이터 구축의 핵심 요소를 맥락과 서사라고 반복해 강조했다.
이권수 팀장은 “자료만 쌓아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 한국적 정체성을 담아낼 수 있는 구조적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공공 번역 역시 직역이 아닌 맥락 번역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전문가가 보증할 수 있는 설명 가능한 데이터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AI는 문화적 사실을 오해하거나 왜곡하는 답변을 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문화정보원이 추진 중인 문화 분야 AI 학습 데이터 구축 사업도 이런 방향성을 중심에 두고 있다. 이 팀장은 “우선적으로 다섯 가지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1995년부터 2025년까지의 문체부 보도자료와 민속대백과사전, 전통 문양, 전통 복식, 국악 음원이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전통 문양 분야에서는 감성 정보까지 확장한 데이터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팀장은 “사람들이 문양을 전문 지식보다 느낌으로 소비한다는 점에 주목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아함, 화려함 같은 감성적 표현을 함께 구축해야 실제 서비스에서 문양 검색이나 이미지 생성이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전통 복식에 대해서도 “무엇보다 정확한 고증이 중요하다”며 “하나만 어긋나도 전체 맥락이 달라지는 영역이기 때문에 전문가 검증을 최우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악 데이터 구축과 관련해서는 “그동안 국악은 AI가 학습할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국립국악원과 협업해 악기 음원과 창법 기반 녹음을 구축하고 있다”며 “이 작업이 끝나면 국악 기반 생성 음악도 가능한 단계로 넘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해 이 팀장은 공공과 민간의 역할을 분명히 나눠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문체부와 문화정보원은 한국적 정체성을 반영한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한국문화정보원, AI페스타 기간 'AI와 문화의 만남' 알려2025.09.30
- 한국문화정보원, AI페스타2025 전시부스 운영2025.09.26
- AI와 전통문화의 만남…한국문화정보원, AI 페스타 2025 전시 참여2025.09.21
- 한국문화정보원, 문화 AI·디지털전환 상담센터 운영2025.09.16
이어 “민간은 이를 기반으로 한국형 모델과 혁신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하고 나아가 “문화 요소 간 관계를 연결하는 지식 그래프 구축이 필수적이다. 맥락과 서사가 결합된 구조를 만들어야 진정한 한국형 AI가 가능해진다”고 강조했다.
이 팀장은 발표를 마무리하며 “한국 문화의 의미를 AI가 배울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 서사를 세계와 공유하는 시대를 열고 싶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