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하이브리드 DBMS 전문기업 알티베이스(ALTIBASE, 대표 박혜례나)는 호주 기술기업 매트릭스 데이터(Matrix Data Pty Ltd)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사는 합작법인을 설립해 호주가 자국 데이터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주권형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미국 기술과 법률로부터 독립된 데이터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현재 많은 국가들이 미국 클라우드 서비스(AWS, Azure, Google Cloud 등)에 의존하면서 데이터 주권 침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국방, 우주, 에너지 같은 안보 분야에서는 자국 데이터가 외국 정부 손에 들어갈 위험이 현실화되고 있다.
■ 왜 지금 '데이터 주권'인가
데이터 주권이란 국가나 기관이 자국 데이터를 외부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는 권리다. 문제는 미국 법(CLOUD Act)이 미국 기업에게 해외 저장 데이터도 미국 정부 요청 시 제출하도록 강제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호주 국방부가 미국 클라우드에 군사 데이터를 저장하면, 미국 정부가 언제든 접근할 수 있다. 또 미국 방산 기술이 포함된 시스템(ITAR 규제 대상)은 다른 나라와 협력할 때마다 미국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는 사실상 기술 주권 상실을 의미한다.
알티베이스-Matrix Data 합작사는 한국과 호주 법인 중심의 '미국 관할권 밖 구조'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 미국 기술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미국 법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호주가 자국 데이터를 100% 통제할 수 있다.
■ 4가지 핵심 보안 기준 동시 충족
합작사는 호주와 국제 시장에서 요구하는 4대 보안·규제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1. IRAP(정보보안 등록 평가 프로그램): 호주 정보보안국(ASD)이 운영하는 정부 공식 보안 인증이다. 정부와 국방기관이 사용하는 모든 IT 시스템은 이 인증을 받아야 한다. 합작사는 IRAP 인증 획득을 통해 호주 공공·국방 시장에 진출한다. 알티베이스는 이의 의미에 대해 " 호주 정부가 "이 시스템은 국가 보안 기준에 맞다"고 공식 인정한다는 뜻"이라며 "IRAP는 호주 정부 조달 시장 진입의 필수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2. 클라우드 액트(CLOUD Act) 대응(해외 데이터의 합법적 사용 명확화법): 미국 법으로, 미국 기업은 데이터 저장 위치와 무관하게 미국 정부 요청 시 데이터를 제출해야 한다. 이의 문제는 호주 병원이 환자 데이터를 AWS에 저장 → 미국 정부가 요청 → AWS는 호주 법과 무관하게 미국 법에 따라 제출 의무 발생한다는 것이다. 알티베이스 합작사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한 한국-호주 법인 구조로 미국 관할권을 완전히 벗어나 있어 미국 정부가 접근할 법적 근거가 없다.
3. ITAR 중립성(국제 무기거래 규정): 미국 방산 기술이 포함된 시스템은 수출이나 공유 시 미국 국무부 승인이 필요하다. 이의 문제는 호주가 영국과 공동 국방 프로젝트 진행 → 시스템에 미국 기술 포함 → 미국 승인 필요 → 프로젝트 지연 또는 정보 유출 위험 등이 있다는 것이다. 이의 해결방안으로 알티베이스 합작사 솔루션은 미국 기술 의존도가 0%로 파이브 아이즈(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간 협력 시 미국 승인 없이 자유롭게 유통이 가능하다.
4. SOCI Act 준수(핵심 인프라 보안법): 호주의 핵심 기간산업(에너지, 통신, 수도, 의료, 금융 등)을 보호하는 법이다. 이들 산업의 데이터 인프라는 최고 수준의 보안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정부는 보안 위협 시 직접 개입할 권한을 갖는다. SOCI Act 준수는 국가 핵심 인프라에 사용할 수 있는 '국가급 신뢰성'을 인정받는다는 뜻이다.
■ 단순 기술 제휴가 아닌 '전략적 동맹'
이번 협력이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제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호주의 기술 주권 확보를 돕는 '전략적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기 때문이다.
기존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미국 법의 영향을 받고(데이터 주권 위협) ▲미국 정부 승인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ITAR) ▲기술 종속 우려(특정 벤더에 락인)가 있다. 반면 알티베이스-매트릭스 데이터(Matrix Data) 합작사는 ▲미국 관할권 밖이며(한국-호주 구조) ▲미국 기술 의존도가 제로(0%_ (ITAR 중립)로 완전한 기술 독립성을 보장한다.
특히 국방, 우주 산업처럼 안보가 핵심인 분야에서는 '누가 우리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가'가 가장 중요한 선택 기준인데, 이런 시장에서 '미국 손 안 타는' 솔루션은 강력한 차별화 포인트가 된다.
■ 향후 계획
관련기사
- 알티베이스, 방콕서 개최 'APAC Regional Conference 2025' 성료2025.10.23
- 알티베이스, 태국서 큰 성과..."첫 직영 프로젝트 수주"2025.10.17
- "클라우드·AI 시장서 알티베이스 DB 역할 더 커질 것"2025.10.16
- "휴머노이드 멀었다"…테라다인이 제시한 대안은2025.11.18
알티베이스 합작사는 우선 호주 시장에서 국방, 우주, 공공, 에너지 분야를 집중 공략한다. 이후 파이브 아이즈 국가들(영국, 캐나다, 뉴질랜드)로 확대할 계획이다.
알티베이스 박혜례나 대표는 "이번 MOU는 단순한 기술 제휴를 넘어선다"며 "호주와 파이브 아이즈 국가들이 자국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보호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적 동맹"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Matrix Data와 함께 국방, 우주, 공공, 에너지 산업에서 데이터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