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금융 기업 어피닛(구 밸런스히어로, 대표 이철원)은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이상학 교수와 개발도상국의 금융 포용성을 높이기 위한 ‘AI 기반 금융 프레임워크’를 공동 개발한다고 10일 밝혔다.
어피닛은 10년 이상 인도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현장 경험과 서울대학교의 선도적 연구역량을 결합해 금융 성장성이 높은 시장 전용 AI 기반의 금융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협업은AI와 데이터 기술을 접목해 개발도상국의 금융 서비스 접근이 어려웠던 계층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어피닛과 서울대학교가 함께 개발하는AI 금융 정책 최적화 및 리스크 관리 엔진은 현지 거시경제 변화, 고객 행동 패턴, 다양한 금융 상품군 등의 변동성을 머신러닝으로 실시간 반영하여, 금융 서비스 품질과 신뢰도를 높이고 연체율 등 리스크는 줄여 중장기적으로 서비스의 지속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어피닛 조성준 사업 전략 담당 이사는 “어피닛 AI 금융 플랫폼은 단순히 금융상품을 중개·추천하는 것을 넘어, 금융 소외 계층의 서비스 접근 장벽을 낮추고 고객 신뢰도까지 끌어올리는 사회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사회적 역할을 지속하려면 수익성도 꾸준히 성장해야 하며, 이번 서울대학교와 공동 연구를 통해서 비즈니스적으로 이익률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더 많은 국가에 금융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어피닛의 AI 파이낸스 디시저닝 플랫폼은 고도화된 대안신용평가(ACS) 엔진을 바탕으로 국가 및 지역별 특성에 맞춘 서비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향후 보험, 투자, 신용카드 등 다양한 비즈니스로의 확장도 목표로 삼는다.
관련기사
- 현대홈쇼핑, 중소협력사와 ‘2025 뉴욕 한류박람회’ 참가2025.11.10
- 위시컴퍼니, ‘클레어스 아티스트 프라이즈’로 신진작가 후원 나서2025.11.10
- 스타벅스, 소방의 날 맞아소방공무원 1천명에게 커피 전달2025.11.09
- 민주노총 반대하는 새벽배송...학회서도 우려2025.11.09
서울대학교는 인과추론, 의사결정 예측, 시계열 모델링(GRU, TCN), 그리고 비정상적 데이터 환경 하의 정책 평가 및 리스크 관리 알고리즘 개발에 특화된 역량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신뢰도 높은 정책 엔진, 거시경제 변화에 강한 적응성과 투명성을 가진 금융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실제 사업에 적용될 수 있는 오픈 데이터셋·소스코드를 연구 산출물로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대학교 이상학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도상국 현지의 빠른 경제 변동성에도 견딜 수 있는 정책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과 분석 툴을 개발할 것”이라며 “한국에서도 전 세계인이 사용하는 금융 서비스 플랫폼이 탄생할 수 있도록 어피닛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