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스 산맥 고지대에 위치한 약 5천200개의 구멍으로 이뤄진 미스터리한 유적의 비밀이 드러났다고 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구멍들은 페루 남부 안데스 산맥의 몬테 시에르페(Monte Sierpe) 지역에 질서정연한 격자 모양으로 배열돼 있다. 이곳의 신비로운 구멍들은 수십 개의 움푹한 홈으로 이루어진 블록 단위로 나뉘어 약 1.5km에 달하는 띠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각 구멍의 지름은 1~2m, 깊이는 최대 1m에 이르며, 일부 구멍에는 돌로 덮여 있다. 이 유적지는 16세기 스페인 식민지 이전부터 존재했던 방어용 정착지와 고대 도로 교차로 근처에 위치한다.
드론으로 밝혀낸 수학적 패턴
연구에 따르면, 이 유적지는 서기 1천~1천400년 사이 인구 10만 명이 넘는 강력한 친차 왕국의 교역 장소로 건설됐을 가능성이 있다. 15세기에 친차 왕국이 잉카 제국에 정복된 이후 연구진은 이곳이 지방 주민들로부터 조공과 세금을 징수하는 장소로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고고학자들은 드론 기술을 이용해 수천 개의 구멍을 정밀 분석한 결과, 구멍 배열에서 수학적 패턴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는 해당 구멍들이 당시의 회계 및 기록 보관 방식과 유사한 구획과 블록 형태로 조직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공동 저자 미국 사우스플로리다 대학교 인류학과 찰스 스태니쉬 교수는 연구진이 “구멍에서 채취한 샘플도 함께 분석했다”고 밝혔다.
10일 고고학 국제학술지 '앤티퀴티(Antiquity)'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 연구진은 드론을 이용하여 해당 유적지의 항공 사진을 수집했고, 여러 구덩이에서 나온 암석과 퇴적물에서 수 세기 전에 살았던 식물의 흔적을 분석했다.
꽃가루가 밝혀낸 사람의 흔적
분석 결과, 이 구멍 안에서 옥수수를 비롯한 작물의 꽃가루가 발견됐다. 이는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옥수수 등을 구멍에 넣었음을 시사한다. 옥수수 꽃가루는 자연적으로 멀리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연구진은 자연 현상이 아닌 인간이 몬테 시에르페에 옮겨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또한 부들 꽃가루의 잔해를 발견했는데, 이는 친차 왕국 사람들이 바구니를 만드는 데 사용했던 재료로 알려져 있다.
봉거스는 “이러한 데이터는 스페인 식민 이전 시대에 지역 주민들이 주기적으로 구멍 안을 식물 재료로 덮고, 그 안에 물품을 보관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며 “당시 사람들은 짠 바구니나 묶음 형태로 물건을 운반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기 페루 안데스 산맥에서는 물물교환 시장이 흔했으며, 특히 무역로를 따라 물물교환 시장이 발달했다. 연구진은 인근 공동체들이 몬테 시에르페를 친차 사회 내 교육 시장 중 하나로 이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시했다.
관련기사
- 남극 상공서 포착된 커다란 구멍 10개…왜? [우주서 본 지구]2025.08.14
- "15년 만에 한 번"…토성에 구멍 생긴다 [우주로 간다]2025.06.28
- 로마인들, 죽은 자에게 와인 바쳤다…’제물용 수로’ 눈길2025.11.04
- 독일서 발견된 거대 로마 석묘, 텅 비었다…이유는?2025.10.28
드론으로 촬영된 이미지에 따르면, 해당 유적지의 구멍 배열은 매듭 진 끈으로 기록을 남기던 잉카의 키푸(khipus)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연구진은 이전에도 과거 잉카의 저장고에서 키푸와 유사한 격자무늬를 발견한 적이 있으며, 이를 근거로 두 장소 모두 다양한 물품을 계산하고 분류하는 데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봉거스는 "이 연구는 과거 공동체가 사람을 모으고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어떻게 주변 지형을 변형했는 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안데스 지역 사례 연구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