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월부터 10월까지 크림 내 러닝 카테고리 제품의 거래량과 구매자 수가 전년 대비 각각 171%와 1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러닝 트렌드는 유행에 민감한 20대와 구매력을 갖춘 30대를 중심으로, 러닝화에 국한되지 않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스타일을 갖춘 ‘완성형 러너’로 진화하고 있다.
7일 크림에 따르면 러닝 카테고리는 연령을 가리지 않고 모든 그룹에서 거래량·거래액·구매자 수가 두 배 이상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전 세대를 아우르는 ‘러닝’의 영향력과 함께, 올해 러닝 열풍을 주도한 핵심은 2030세대다. 트렌드 변화에 가장 빠르게 반응하는 20대와 구매력을 기반으로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30대가 러닝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중에서도 30대 여성 거래량은 같은 기간 274% 늘어 모든 연령 및 성별 그룹 중 가장 압도적인 성장률을 기록했다. 거래액 역시 226% 급증하며 시장을 이끄는 ‘큰 손’으로 떠올랐다. 30대 남성 역시 166% 증가한 거래량을 보이며 인기를 뒷받침했다.
트렌드에 민감한 20대의 약진도 돋보였다. 20대 여성은 구매자 수 182%, 거래량 200%의 성장률을 보였고, 20대 남성 역시 구매자 수가 114% 증가하며 러닝 시장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신발에서 ‘머리부터 발끝까지’로 확장된 트렌드는 상품별 거래 비중에서도 명확히 확인된다. ‘러닝화’ 거래액은 129% 성장했지만, 전체에서의 비중은 지난해 92.3%에서 올해 88.4%로 오히려 3.9%p 감소했다. 러너들이 기능적으로 기록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의류와 액세서리를 통해 자신만의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볼캡’과 ‘양말’은 전년 대비 거래액이 각각 1,205%, 659% 폭증했으며, ‘바람막이’(+345%), ‘숏 팬츠’(+198%) ‘아이웨어’(+170%)도 스니커즈의 성장률을 크게 웃돌았다.
이러한 흐름은 검색량에도 반영됐다. 지난해 러닝 아이템 상위 20위 검색어가 대부분 러닝화 관련 키워드였던 것과 달리, 올해는 ‘러닝모자’(9위), ‘러닝캡’(10위), ‘러닝조끼’(15위) 등 의류 및 액세서리가 새롭게 순위권에 대거 진입했다.
브랜드 순위에도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아디다스’는 거래액이 전년 대비 906% 성장하며 2024년 5위에서 2025년 3위로 뛰어올랐고, ‘아식스’는 275% 성장하며 나이키에 이은 2위 자리를 굳히며 러닝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관련기사
- CGV, ‘2025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 생중계2025.11.07
- NHN두레이, DB손해보험 내부망에 두레이 적용2025.11.06
- 오아시스마켓, ‘가을 미식회’ 기획전...제철 식재료·보양식 최대 68%↓2025.11.06
- CJ CGV, 3분기 영업익 감소에도 흑자 유지...동남아 성장세 지속2025.11.06
특히 트렌드를 이끄는 30대 여성의 2025년 거래액 1위는 ‘나이키’가 아닌 ‘온러닝’이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상대적으로 구매력이 높은 30대 여성 사이에서 기능적 측면이 두드러진 러닝 전문 브랜드가 주목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 밖에도 캐나다 브랜드 ‘노다’를 비롯한 고기능성 브랜드와 ‘알로 요가’, ‘새티스파이’ 등 패셔너블한 액티브웨어 브랜드가 주목을 끌며 고기능성과 패션을 결합한 ‘패션-테크’가 새로운 흐름으로 부상했다.
크림 관계자는 “2025년은 러닝 인구가 대폭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신발을 넘어 의류와 액세서리까지 스타일을 확장하는 ‘완성형 러너’로 진화한 한 해”라며 “크림은 실 소비자 거래 데이터를 통해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트렌드를 포착하고 있으며, 다양한 러닝 아이템을 발빠르게 큐레이션한 ‘러닝탭’을 꾸준히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