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1조4천억 달러(약 2천30조원)에 달하는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공개한 가운데 샘 알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정부 보증이나 구제금융은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오픈AI가 빠르게 확장 중인 데이터센터와 칩 인프라 사업을 둘러싸고 정부 지원 논란이 불거졌지만, 알트먼 CEO는 "실패하더라도 민간 기업으로서 스스로 책임질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6일(현지시각) 샘 알트먼 오픈AI CEO는 X를 통해 "우리는 정부의 보증을 받거나 너무 커서 실패할 수 없는 존재가 되길 원하지 않는다"며 "정부가 시장의 승자와 패자를 결정해선 안 된다. 잘못된 판단으로 실패한 기업은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공공 이익을 위해 자체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의미가 있지만, 그 혜택은 정부에 귀속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부가 민간 기업의 데이터센터 확장을 위해 보증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우리가 논의한 유일한 대출 보증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 전체의 공급망 독립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알트먼은 최근 논란이 된 사라 프라이어 최고재무책임자(CFO)의 '정부 백스톱' 발언에 대해서도 "표현이 오해를 불러일으켰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우리는 정부 지원에 의존하지 않으며 대신 AI가 새로운 경제를 이끌 기반 인프라를 스스로 구축해야 할 시점"이라며 "지금이야말로 대규모 투자를 시작할 때"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오픈AI, 690조원 규모 '스타게이트' 확장…美 전역에 초대형 AI 인프라 구축2025.09.24
- 엔비디아, 오픈AI 140조원 규모 투자...'AI 동맹' 체결2025.09.23
- 오픈AI, 인도에 초대형 데이터센터 짓는다…아시아 공략 '시동'2025.09.02
- 오픈AI, 데이터센터 인프라 사업화 검토…"AWS처럼 키울 것"2025.08.21
오픈AI는 올해 연 매출 실행 기준 200억 달러(약 27조원)를 넘길 것으로 예상하고 2030년에는 수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주요 수익원으로는 기업용 AI 서비스, 소비자 기기, 로보틱스, 과학 연구용 AI 등이 꼽힌다. 알트먼 CEO는 AI 클라우드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샘 알트먼 CEO는 "AI가 질병 치료나 과학적 발견 등 인류의 난제를 해결할 잠재력이 있는 만큼, 우리는 그 순간을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한다"며 "이것은 정부가 아닌 시장이 평가할 문제"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