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 양자 인력난 해결 위해선 채용 때 가산점 줘야"

이용구 위드웨이브 대표, 과기정통부 주관 '프로젝트 공감118' 간담회서 제안

과학입력 :2025/11/04 15:24    수정: 2025/11/04 16:33

"양자분야 중소, 벤처기업 인력난을 해결할 아이디어가 몇 개 있다. 우선 작은 기업들이 고학력자 채용하면 인건비의 50%를 국가가 한정적으로, 예를 들어 5년간 지원해주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정부 과제 선정 때 중소기업이 고학력자를 포함시킬 때도 가산점을 달라. 마지막으로 국내 부품을 사용할 때 가산점 주는 방안이 있다."-위드웨이브 이용구 대표.

"슈퍼컴퓨터 6호기가 조만간 도입될 예정이지만, 5호기를 보면 기업들 사용이 많지 않다. 쓰는 것 자체가 어렵게 되어 있다. 기업이 유의미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선 고민을 좀더 많이 해야 한다. 국민이 이해할 수 있도록 고민해달라."-과기정통부 구혁채 제1차관.

과기정통부 구혁채 제1차관(오른쪽)이 KAIST안재욱 석좌교수로부터 원자 광집게 레이저 장비에 대해 설명 듣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4일 '프로젝트 공감 118' 일환으로 KAIST에서 열린 양자-AI 융합 주제 산·학·연 전문가 간담회서 나온 얘기다.

이날 행사는 구혁채 1차관의 KAIST 국가 양자팹 연구소와 최재윤 교수의 양자컴퓨팅연구실, 그리고 안재욱 석좌교수 연구실 방문과 이어 산학연이 참여하는 간담회가 진행됐다.

구혁채 1차관을 중심으로 과기정통부에서는 심재섭 양자혁신기술개발과장이 참석했고, KAIST 측에서는 최재윤, 조용훈, 안재욱, 김동규 등 교수진 4명과 석박사 과정 2명이 자리했다. 과학기술계 대표로는 한국연구재단 백승욱 양자기술단장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용호 초전도양자컴퓨팅시스템연구단장, 나노종합기술원 강일석 센터장, KISTI 함재균 양자정보응용연구센터장이, 기업에서는 IBM 표창희 아태지역 엔터프라이즈사업총괄/상무, 위드웨이브 이용구 대표, 큐노바 김재완 전무가 참석했다.

이용구 대표는 "2010년부터 양자 진출을 준비했고, 현재 매출 구성의 70%가 엠비디아나 마벨, 스페이스엑스 등지로의 수출이다. IBM과도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라며 "한국기업이 뭉치면 빠른 시간내 양자전환이 될 것으로 본다. 국내 마케팅을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석사과정으로 참여한 서동완 석사과정 연구생은 "원자시계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으면, 해외가서 일하고 다시 한국으로 돌아오겠다"고 언급했다. 서 연구생 얘기는 최근 젊은 층의 박사학위자 해외로의 이탈과 맥을 같이 하는 발언이어서 관심을 끌었다.

4일 열린 '프로젝트 공감 118'에서 위드웨이브 이용구 대표(가운데)가 인력확보 방안에 대해 발언 중이다.

이에 대해 안재욱 교수는 "국내서 일하고 싶어도 처우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이외에 안 교수는 또 "양자분야가 정권 바뀌면 없어질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외국은 50년 계획을 잡아 놓는다"며 지속적인 양자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구혁채 1차관은 "최근 경향이 대기업은 박사학위 소지자 비율이 늘어나는데, 중소기업은 되레 줄며 학사학위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들 고급 인력을 중소기업으로 어떻게 보낼 수 있을까, 현장에서 어떻게 포용할 것인가를 풀어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큐노바에 합류한 김재완 전무는 "대기업과 신약개발이나 전자산업에서의 협업을 얘기하면, 여전히 주저주저한다. 양자가 정말 세상을 바꿀까에 대해 보수적으로 접근한다"며 "실제 양자에서 현실화한 기술도 많은데, 이런 부분에서 대기업이 나서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달라"고 요청했다.

김 전무는 또 "대학 등에서 인력을 조달하는 것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며 "기존 인재의 재교육과 재배치로 갭을 채워야 한다. 현장 교육을 통해 수급 갭을 메울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IBM에서 아태지역을 책임지고 있는 표창희 상무 언급도 관심을 끌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함께가야 한다"고 강조한 표창희 상무는 "현재 양자 알고리즘 연구센터 구축을 검토중"이라며 "핵심은 정부와 산업계, 대학 등이 실제 문제를 고민하고, 이를 양자 알고리즘으로 풀어내는 원스톱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려 한다"고 말했다.

표 상무는 "산학연의 문제 정의와 알고리즘 설계와 설계한 알고리즘을 돌려보고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나아가 검증 알고리즘 산업화까지 한 체계 안에서 만들려 한다. 실제 알고리즘 연구센터에서 같이 연구하고, 함께 생태계를 만들어 다 같이 협력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함재균 센터장은 "양자컴퓨터를 잘 활용하려면 하드웨어와 함께 소프트웨어 개발도 고려돼야 한다"며 "IBM도 하이브리드를 밀고 있다. 그런 하이브리드 환경을 만드는 것이 SW 하는 쪽 중요한 기술로 본다. 그런 부분에서 정부 입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에 앞서 심주섭 과장은 간단한 주제발표에서 "AI 확산에 따른 대안이 양자를 이용한 머신러닝 등이다"라며 "미국 백악관 메모에도 양자와 AI라는 단어가 언급될 만큼 이들 두 축이 핵심이다. 이제는 양자역학의 산업계로의 확산을 고민할 때"라고 언급했다.

과기정통부 구혁채 1차관이 4일 KAIST 연구현장에서 조용훈 국가양자팹연구소장의 양자 설명에 귀를 기울였다.
4일 프로젝트 공감 118 간담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했다.(사진=KAIST)

또 자기소개에서는 미국 MIT에서 학위를 한뒤 큐에라 컴퓨팅에서 일하다 귀국한 김동규 교수의 중성원자를 이용한 양자컴퓨터 기업 'OQT' 창업과 위드웨이브 이용구 대표의 내년 IPO 상장 추진, IBM 표창희 한국지사장의 상호 협력 강조, 큐노바 김재완 전무의 양자 하드웨어와 SW의 협업 가능성 타진, 우리나라 양자 산업화를 개척한 이용호 단장의 양자 센싱인 스퀴드 기술이전 4건 성과 및 최근 과기정통부의 1200억 원 규모 플래그십 사업 선정 등을 공개 관심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