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이 11월부터 생체인식시스템 성능시험 및 인증 제도에 ‘장정맥(손바닥 정맥)’을 추가했다. 이에, 평가 분야가 기존 5개(지문인식, 얼굴인식, 손등정맥인식, 지정맥인식, 홍채인식)에서 6개로 늘었다.
생체인식시스템 성능시험 및 인증 제도는 2006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국내 최초의 생체인식 알고리즘 평가 제도다. 국내 생체인식 기술의 신뢰도 제고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해 왔다.
최근 생체인식 기술이 단일 생체정보에서 복합 생체정보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접촉식에서 비접촉식 인증으로 전환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러한 기술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험 및 인증 분야를 지속적으로 확대, 개편하고 있다.
장정맥 인식은 손바닥 정맥 패턴을 활용한 비접촉식 생체인식 기술이다. 위,변조가 어렵고 정확도가 높아 금융권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는 장정맥 분야 성능 평가 기준과 제도가 없어 해외 인증에 의존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했다.
관련기사
- LGU+, KISA에 해킹 의심정황 신고2025.10.23
- KISA 12년 운영 'C-TAS' 도마..."가입 기업 5011곳 저조"2025.10.21
- 이상중 KISA 원장 "디지털 신뢰 확보는 국가 책무"2025.10.21
- "생체인증부터 관제 자동화까지"…아이티센피엔에스-위엠비, 금융권 보안 고도화2025.06.19
이번 장정맥 분야 추가를 계기로 국내 생체인식 기업은 보다 다양한 기술 영역에서 성능시험과 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앞으로도 산업계 요구와 기술 트렌드를 반영해 시험 및 인증 제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오진영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산업본부장은 “생체인식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다양화하는 시장 상황에 맞춰 장정맥 분야를 새로 추가했다”며 “앞으로도 산업계 수요를 적극 반영해 국내 생체인식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생체인식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