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휴머노이드 연합' 참여 기관 200여곳 넘었다

신규 모집 공고에 150여개사 몰려..2030년까지 최고 휴머노이드 제조 기술 확보 목표

디지털경제입력 :2025/10/23 08:47    수정: 2025/10/23 10:49

K-휴머노이드 연합이 단기간에 참여 기업과 대학을 네 배 이상 늘리며 국내 로봇 생태계 확산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2일 로봇업계에 따르면 K-휴머노이드 연합 참여 기업 수는 200여 곳 이상으로 늘었다. 기존 160여개 기업과 대학이 참여했지만, 2차 추가 모집 결과에 따라 빠르게 성장했다.

연합은 산·학·연·관이 협력해 203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 휴머노이드 제조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K-휴머노이드 연합 참가 업체들이 개발하고 있는 국산 휴머노이드 로봇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연합은 지난 4월 출범 당시 삼성전자·LG전자·두산로보틱스·HD현대로보틱스 등 주요 대기업과 서울대·KAIST·연세대 등 연구기관, 레인보우로보틱스·에이로봇·엔젤로보틱스 등 전문 제조사와 부품 기업을 포함해 약 40개 단체로 시작했다.

로봇 생태계를 구성하는 대기업, 스타트업, 부품사, 연구기관이 두루 참여하는 개방형 협력 구조를 통해 단순한 기술 공동개발을 넘어 국내 로봇 산업 전반 가치사슬을 연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난 6월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창립 총회에서는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이 초대 위원장으로 선출됐다. 주요 의사결정 기구인 총괄위원회도 공식 출범했다.

총괄위원회에서는 신규 참여기업 모집 절차가 보고됐다. 이 과정에서 151개 기업이 신청했다. 전문가 평가를 거쳐 추가 참여기업을 선발한다.

지난 6월 13~23일 진행된 신규 모집 공고에서 휴머노이드 AI, 하드웨어, 부품, 수요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진 기업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자격 요건과 평가 기준이 제시됐다.

신청 기업들은 기술력·전문성, 개발 실적, 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받으며 총괄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선정된다.

관련기사

정부와 산업계는 휴머노이드 기술의 전략적 중요성을 감안해 참여사를 단순 확장하기보다 기술력·잠재력을 기준으로 선별해 구성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합은 국내 기업들이 공동으로 R&D를 추진하고, 개발된 AI·로봇 기술을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