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초 시작된 비트코인 강세장이 사실상 막을 내렸다는 경고가 나왔다고 포브스, 코인데스크 등 외신들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런 경고를 내놓은 것은 레든(Ledn)의 존 글로버 최고투자책임자(CIO)다.
존 글로버는 "2023년 초 시작된 비트코인 강세장은 최근 12만6천달러에서 10만4천달러로 하락하며 끝났다"며 "비트코인 가격은 2026년까지 7만 달러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엘리엇 파동 이론을 근거로 “비트코인의 5파동 상승 움직임이 끝났다. 적어도 2026년 말까지 지속될 약세장이 시작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약세장에서는 7만~8만 달러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 앞으로 몇 달 동안 가격 움직임을 살펴보면 약세장 목표가는 더욱 명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엘리엇 파동은 1938년 랄프 넬슨 엘리엇이 제시한 이론으로, 투자자들의 심리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움직인다는 생각에 기반 한 이론이다.
한편, 다른 암호화폐 분석가들은 최근 시장이 패닉 셀링 양상으로 접어들며, 향후 몇 주 간 극심한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웨이브 디지털 에셋 최고경영자(CEO) 데이비드 시머는 "현재 시장은 공황 매도, 매매 중단, 바닥매수를 노리는 선택적 매수세가 뒤섞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완전한 폭락이라고 단정하긴 어려우나 주요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으로 접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가상자산 레버리지 청산 충격 이어져...흔들리는 '업토버 랠리' 기대감2025.10.17
- 크립토닷컴 CEO "가상자산 대규모 청산 거래소 대상 조사 필요"2025.10.12
- '역대급 충격' 가상자산 시장, 20억 달러 규모 레버리지 청산2025.10.11
- 비트코인 폭락 없다? 아서 헤이즈 "4년 주기 이론은 끝났다"2025.10.10
다만, 시머는 미 연방준비제도가 최근 비둘기파적 입장으로 기울고 있어, 비트코인과 암호화폐로의 자금 흐름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러한 환경이 조성된다면 2026년 이전에 시장이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4분기 회복 가능성에 대해 신중한 낙관론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20일 오전 9시30분 기준 비트코인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24시간 전보다 0.07% 내린 1억6384만원에 거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