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약사와 협업을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도 필요하지만 현지 기업 문화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한국로슈, 스위스 바젤 시, 주한 스위스 대사관과 함께 헬스케어 분야의 글로벌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글로벌 협력을 위한 헬스케어 인사이트 미디어데이'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함얀 보겔드 로슈 아시아 파트너링 헤드는 ‘혁신을 위한 로슈의 파트너링’을 주제로 로슈의 혁신과 한국 파트너십에 대해 설명했다.
보겔드 헤드는 “로슈의 지난해 매출이 605억 스위스 프랑이었다. 전세계에 진출하며 파이프라인 보충이 중요한데 로슈 혼자서 다 할 수는 없기 때문에 글로벌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라며 “우리는 혁신을 찾고자 한다. 협업을 통해 바이오텍기업에 로슈의 전문지식을 전달해 개발되는 신약을 세계로 진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로슈의 파이프라인 50%는 혁신성을 갖고 있고, 이를 외부 바이오텍과 같이 이루고자 한다. 다른 제약사도 혁신 찾고 있는데 협업을 위해서는 해당 기업의 현지 생태계, 문화에 대한 이해 필요하고, 그래야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특히 “로슈 매출의 60%는 파트너링과 인아웃선싱 등에서 나온다. 지난해 72개의 계약을 체결했는데 아시아의 경우 하나의 딜을 체결하기 위해 250개 회사를 접촉했다”라며 “협업을 위해서는 파트너링을 원하는 회사의 관심 분야에 대해 잘 이해해야 한다. 또 어떤 피칭을 할지도 이해가 필요한데 연구가 가장 잘 진행되고 있는 물질에 대해 피칭을 하고, 특허전략도 제시해야 한다. 제조생산시설의 경우 시간 단축에 중요해 국제기준이나 인증 등의 준비를 잘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겔드 헤드는 스타트업들이 설득력 있는 과학적 근거와 확실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산과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곧 글로벌 제약기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이라고도 말했다.
그는 “로슈는 기술기반의 제약사이다. 협업하려는 스타트업의 비전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약물기전을 명확이 이해하고자 한다. 작용기전을 잘 아는 것이 개발에 실패해도 이유를 알 수 있기 때문”이라며 “대화가 진행되면 기업에 많은 추가 자료를 요청하고 실사도 진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답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는 막대한 자금을 투자할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또 “한국 바이오텍기업들은 이중항체, 뇌질환 등 한국은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고, 시각도 광범위하다. 2022년 한국을 처음 방문했는데 점점 최상의 치료제가 될 만한 회사를 만나는 기회가 늘고 있다”라며 “지난 화요일 아시아 파트너링 행사 9개사 초청 발표 자리를 마련했는데 인상적이었던 부분이 한국 바이오텍회사가 우리 니즈와 점점 더 맞아 떨어지는 솔루션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앞으로도 이런 회사를 지원할수 있는 방법 더 찾을 계획이고 협업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자트 아젬 한국로슈 대표는 “한국은 R&D가 강하고, 훌륭한 인재풀도 보유하고 있다. 또 대기업뿐 아니라 소규모 바이오텍기업도 다수 포진하고 있어 글로벌기업이 협업을 추진할 기회를 제공한다”라며 “한국이 국제기준과 격차를 줄여나간다면 협업은 더 활기를 띨 수 있을 것이다. 또 정부와 기업, 학계 등 이해관계자 간 긴밀한 협업이 있다면 글로벌 생태계 통합은 원활이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복지부장관이 바이오파마 리더가 될 수 있도록 제약바이오산업을 육성하고, 투자를 늘려 혁신기반의 발전을 추구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안다. 또 AI헬스케어 기반도 마련하겠다는 구성도 가지고 있다고 말했는데 로슈는 이러한 노력에 덧붙여 한국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로슈, 스위스, 그리고 한국: 성공적인 바이오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화’를 주제로 진행된 자유토론에서 패널들은 한국 바이오산업의 잠재력과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다양한 통찰을 공유했다.

크리스토프 클뢰퍼 바젤 투자청 대표는 처음 로슈와 같은 대기업 중심으로 출발했던 바젤 제약산업이 바젤시의 정책적 노력을 통해 다양한 기업들이 함께하는 혁신 클러스터로 변모할 수 있었던 과정을 소개했다.
안드레아 클레멘티 주한 스위스 대사관 무역투자청 대표는 한국과 스위스가 상호 보완적인 강점을 지닌 파트너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스위스를 한국 기업의 유럽 진출 시 고려할 수 있는 매력적인 비즈니스 거점으로 제시했다.
콘라딘 크라머 바젤 시장은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상호 신뢰와 존중을 기반으로 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십”이라며 “바젤은 150년 전부터 이어져 온 제약 산업의 역사를 바탕으로 로슈와 같은 글로벌 기업 및 스타트업, 정부, 학계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혁신을 주도하며 성공적인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의 모범 사례가 되었다”고 밝혔다.
나딘 올리비에리 로자노 주한 스위스 대사는 “스위스는 세계지식재산기구의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15년 연속으로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선정되었으며, 생명과학 분야는 획기적인 연구와 기술이 탄생하는 스위스 경제의 핵심 축”이라며 “이 분야에서 한국과의 협력이 더욱 확대되어 양국 관계가 강화되고, 글로벌 헬스케어 혁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