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터너스 부사장이 '차기 애플 CEO'로 유력한 이유 세 가지

"나이·기술 전문가·신임 등 앞서"…플래그십 '아이폰 에어' 직접 소개키도

홈&모바일입력 :2025/10/06 12:53    수정: 2025/10/06 22:19

최근 애플 핵심 경영진들이 잇따라 은퇴 의사를 밝히는 가운데,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의 후임자로 존 터너스 애플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부문 수석 부사장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여럿 제기됐다.

5일(현지시간) 폰아레나, 블룸버그 등 다수 외신은 애플 차기 CEO로 존 터너스 수석 부사장이 가장 유력한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폰아레나에 따르면 업계 전문가인 마크 거먼은 직접 발행하는 뉴스레터에서 “사실상 확정됐다”며 이같은 전망을 공유했다.

존 터너스 애플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부문 수석 부사장 (사진=애플 홈페이지)

터너스 수석 부사장이 올해 최신 플래그십 모델 ‘아이폰 에어’를 직접 선보이게 한 것도 이같은 배경이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터너스 수석 부사장이 유력 후보로 주목받는 이유를 크게 세 가지로 분석했다.

젊은 나이가 강점으로 먼저 꼽혔다. 터너스의 나이는 50세로, 팀 쿡이 CEO로 취임했을 당시와도 같은 나이다. 다른 후보로 거론되는 크레이그 페더리기 애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보다도 6살이 젊다. CEO로 취임한 뒤 상황에 따라서는 10년 이상 안정적으로 애플을 이끌 수 있다는 기대를 받는다.

현 애플의 당면 과제를 고려할 때 기술 전문가 중심의 경영이 요구되는 상황이란 점도 터너스 수석 부사장에 유리한 부분이다. 팀 쿡 CEO가 재무 실적에서 큰 성장을 이뤘지만, 생성AI를 비롯한 각종 신기술 분야에선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내부적으로는 터너스가 큰 투자를 단행하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진 않지만, 이사회에선 터너스 같은 제품 엔지니어링 리더가 해답인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팀 쿡 CEO의 신임을 받고 있는 점도 언급됐다. 터너스 수석 부사장의 역할이 제품 로드맵, 기능과 전략에 대한 핵심 의사 결정권자로 확대되면서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책임자의 영역을 넘어서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애플 내 경영진 세대 교체 바람이 불고 있는 만큼 업계에선 차기 CEO에 관심을 쏟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댄 리치오 전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이 은퇴했고, 연말에는 루카 마에스트리 전 CFO가 직을 내려놨다. 지난 7월에는 애플 2인자인 제프 윌리엄스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직을 내려놓고 연말 퇴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팀 쿡도 다음달 65세가 되는 등 은퇴에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지난 2021년 팀 쿡은 10년 내로 애플을 떠날 수 있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팀 쿡이 CEO 자리에서 물러나더라도 어떤 형태로든, 아마 이사회 의장 역할로서는 애플에 계속 관여할 가능성이 높다”며 “제프 베조스, 래리 엘리슨, 빌 게이츠, 리드 헤이스팅스 등 IT 기업 리더들이 걸어온 길을 가게 될 것이고 이런 연속성은 트럼프 대통령이 2029년 초까지 집권할 상황에서 중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