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은 리더의 고민을 100%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그 관점에서 리더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성파 링글 공동창업자가 1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HR테크 리더스 데이’에 참석해 테크기업 관점에서 본 핵심 인재와 이를 유지하는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이 공동창업자는 과거 기획·생산·판매 등이 분리되고 의사결정이 느린 제조업과 달리 테크업은 빠름과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테크업은 서비스 전략이 전부이며 인재에 의해 서비스 경험이 결정된다”며 “사람이 곧 전략이고 조직이 핵심 역량”이라고 강조했다.
이 공동창업자는 테크업에서 핵심 인재 요소로 ▲일을 잘하는 사람 ▲일을 잘하는 조직으로 만들어주는 사람 ▲회사의 이익 관점에서 결정·움직이는 사람 등을 꼽았다.
우선 일을 잘하는 사람은 더 탁월한 것을 될 때까지 해내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꼭 필요한 것을 쉽고 집중도 높게 만들며 유저와 지속적으로 소통해 서비스를 사용하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그는 또 “동료에게 생산적 관심을 줘 일을 잘하는 조직으로 만드는 사람도 핵심 인재”라며 “여기에 전사 KPI 달성을 최우선에 두고 내가 하고 싶은 일보다 회사가 필요한 일에 집중하고 타 팀과 협력하는 인재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공동창업자는 이 같은 핵심 인재를 유인하려면 리더가 지속적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속적으로 회사가 하는 일과 성취, 비전 등을 리더와 HR이 전파해 비전과 성장으로 인재를 끌어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회사가 어려울 때 일과 비전을 보고 입사한 인재 중 80%는 남아있고 회사가 좋을 때 회사나 복지를 보고 입사한 인재 중 10%만 남아있다”며 “좋은 회사를 찾는 사람은 핵심인재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핵심 인재가 아닌 사람을 선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핵심 인재를 놓쳤을 때보다 아닌 인재를 채용했을 때의 리스크가 더 크기 때문이다.
이 공동창업자는 “TO를 내는 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 왜 사람을 선발해야 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을 선발해야 하는지에 대해 치열하게 논의한다”며 “모든 부서 채용의 첫 단계를 HR이 담당해 주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인물인지를 파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핵심인재는 잘 안 움직여…기다리지 말고 먼저 다가가야"2025.04.22
- AI 시대 인재·성장·협업 모든 것 'HR테크 리더스 데이 4' 열린다2025.09.11
- AI 시대, 조직과 구성원의 성장·성공 전략 어떻게 짤까2025.09.13
- AI 시대 맞는 채용·업무 "아직도 준비만?"…해법 찾는다2025.09.15
그는 HR 리더는 창업자와 소통을 가장 많이 하는 인물이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단순히 채용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타이밍에 어떤 사람을 채용해 유저에게 행복감을 줄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 공동창업자는 “전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아야 하고 회사 내 핵심 인력과 자주 소통해 본질적인 고민을 이해해야 한다”며 “탁월한 HR이 되기 위해서는 전통적 HR의 한계를 뛰어 넘고 그런 기회를 주는 리더와 조직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