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기업‧공공 CDMO 한 플랫폼돼야 지역 바이오 산다"

[K-바이오, 지역이 힘이다] 국가바이오위원회, 전남 바이오 현안 청취

헬스케어입력 :2025/09/26 13:51    수정: 2025/09/26 14:35

이재명 정부가 해결해야 할 여러 현안 중에서도 지역 소멸 및 경제 활성화는 그 시급성을 고려할 때 빠른 해법이 요구된다. 지디넷코리아는 바이오헬스가 위의 난제를 해결할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이에 국내 여러 바이오 특화 지역 가운데에서도 전라남도 사례를 통해 왜 국가 차원의 지역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이 확대되어야 하는지 알아본다.

“병원‧기업‧공공 CDMO가 한 플랫폼이 되어야 지역 바이오 산다.”

윤호열 전남바이오진흥원장의 말이다. 윤 원장은 지난 23일 전남 화순에서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주관해 열린 ‘바이오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순회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에는 국가바이오위원회 지원단과 전남지역 바이오기업, 전남바이오진흥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국가면역치료혁신센터 등이 참석했다.

사진=전남바이오진흥원

이 자리에서는 지역 바이오기업이 사업화 과정에서 겪는 규제·인프라 한계에 대한 문제의식이 공통으로 나왔다. 참석자들은 임상–GMP–인허가로 이어지는 전주기 지원의 체계화, 병원–기업 공동연구 및 임상 연계 강화, 백신·면역치료 분야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협력체계 고도화가 시급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간담회에 참석한 전남 지역 기업들은 간담회가 현장 요구를 최우선에 두고 지역 병원–기업–공공 인프라 간 협력 방향을 구체화했다는 점에 의미를 뒀다. 이들은 간담회에서 논의된 제도 개선, 연구개발, 인력·투자가 실제 진행될 시 전남도 바이오 생태계의 실행력이 높아져 기업의 사업화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기사

윤호열 원장은 “화순(jBF), 오송(KBIOHealth), 대구(K-MEDI hub) 등 이미 구축된 공공 CDMO 인프라를 국가 R&D와 전주기로 연계해 임상시료 제조–공정개발–품질시험(QC/QA)까지 한 번에 지원해야 중소·벤처의 초기 제조·규제 부담을 줄일 수 있다”라며 “공공 CDMO를 정부 R&D의 공동수행기관으로 인정하고, 관련 비용의 R&D 계상 근거를 정비해 현장 활용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병원‧기업‧공공 CDMO가 하나의 실행 플랫폼으로 작동해야 한다”라며 “그래야만 기술사업화 속도,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성, 지역 상생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