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에 펨토셀이라고 부르는 초소형 기지국이 활용됐다는 의혹이 있는 가운데, KT가 구축한 장비가 탈취되거나 또는 국내서 제작된 장비로 보기 어렵다는 경찰의 분석이 나왔다.
뉴스1에 따르면 24일 경기남부경찰청이 KT 해킹 용의자 관련 백브리핑에서 무단 소액결제에 사용된 노트북은 이미 중국으로 반출됐고, 불법 기지국 장비는 평택항에서 발견됐다.
해킹을 위해 해외서 별도 제작된 장비로 보인다는 설명이 나온 점이 주목할 부분이다.
지난 16일 용의자 검거 당시 불법 장비는 소지하지 않았는데 경찰은 그를 추궁해 그가 사용했던 불법 펨토셀을 평택항에서 발견했다.

경찰이 평택항에서 입수한 장비는 박스 2개 내 네트워크 장비가 포함된 총 27개 물품에 같이 담겨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스 2개의 크기는 라면 박스 정도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은 “펨토셀이라고 용어를 쓰는데 보도된 것처럼 잔류 펨토셀이라고 특정할 수는 없다”며 “KT에서 수거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 않고, 국내서 제작된 것도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통상적으로 펨토셀의 커버리지(통신 전파 도달범위)는 20~30미터 수준으로 협소한 편이다.
반면, KT의 해킹 사고에서 쓰인 장비는 전파 강도를 높여 정보를 탈취하는 수준으로 작동됐다. 또 정상 기지국을 감지하는 기능도 갖췄다.
관련기사
- 김승주 교수 "사이버 보안 3축체계 마련해달라”2025.09.24
- 김영섭 KT "사태 해결에 최선...펨토셀 관리 부실"2025.09.24
- KT 찾아간 국회 과방위..."보안 투자·관리 선도적으로 이뤄졌어야"2025.09.19
- KT "불법 기지국 2개 추가 발견, IMEI 유출 확인"2025.09.18
불법 통신장비를 작동시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 노트북이 필요했고 용의자는 텔레그램으로 ‘윗선’에서 지시를 받았다.
다만 노트북과 텔레그램 소통이 이뤄진 대포폰은 지난 13일 중국으로 반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