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이버보안 지식 세계 11위…AI 위험 인식 낮아

비밀번호·SNS는 강점, AI·와이파이·피싱 대응은 취약

컴퓨팅입력 :2025/09/16 10:26

한국인의 사이버보안 지식 수준이 세계 11위 수준으로 특히 인공지능(AI) 관련 보안 위험 인식이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AI 확산 속에 보안 위협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상당수는 기본적인 보안 수칙에만 익숙할 뿐 정교한 위협에는 취약하다는 분석이다.

노드VPN은 최근 발표한 국가별 개인정보보호 인식 테스트(NPT) 조사에서 한국인의 사이버보안 지식 수준이 100점 만점에 50점으로 집계돼, 지난해와 동일하게 186개국 중 11위를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한국 개인정보보호 인식 테스트 결과(이미지=노드VPN)

이번 조사는 전 세계 3만792명이 참여해 22개 문항에 답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한국은 강력한 비밀번호 생성(94%)과 소셜미디어 민감 정보 인지(87%)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업무용 AI 활용 이해도(8%), 메타데이터 이해(6%), 가정용 와이파이 보안(9%), 피싱 사이트 식별 능력(19%) 등에서는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는 기본 보안 수칙에는 익숙하지만, AI 확산과 같은 새로운 기술 환경에 대한 대응은 부족하다는 의미다.

사이버보안 지식 수준을 세 단계로 나눴을 때, 한국인의 52%는 기본 수준에 머물렀으며, 최고 수준은 6%로 글로벌 평균인 10%보다 낮았다. 일부 지표는 개선됐지만 여전히 취약한 영역이 확인됐다. AI 기반 사기 인식은 지난해 49%에서 55%로 높아졌고, 개인정보 보호 도구 인식도 12%에서 13%로 개선됐다. 

그러나 집 와이파이 보안 이해도는 12%에서 9%로 하락했고, 신용카드 정보 저장 위험 인식도 82%에서 78%로 줄었다. 가짜 URL(36%)과 피싱 사이트 식별 능력(19%)은 변화가 없었다.

관련기사

노드VPN은 AI 활용이 늘어날수록 해커들에게 새로운 공격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며, 기업과 개인이 이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 업무 기밀 노출, 금융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기본적인 보안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노드VPN 마리유스 브리에디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확산으로 온라인 환경의 위험이 커졌지만, 안전한 환경을 지키는 핵심은 여전히 기본 보안 원칙 준수에 있다"며 "작은 실수를 해커가 악용할 수 있는 만큼, 비밀번호 관리와 의심스러운 링크 경계 등 기본 수칙을 생활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