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 "AI 시대 보안은 '능동·예측' 핵심"

CSK 2025 행사서 기조연설…"피지컬 AI 시대엔 물리보안도 AI가 수행"

컴퓨팅입력 :2025/09/09 16:08    수정: 2025/09/09 17:21

"인공지능(AI)은 능동적이고 예측적인 보안 체계를 통해 국가 사이버 안보에 기여해야 한다"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은 9일 국내 최대 규모로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사이버안보 행사인 '사이버 서밋 코리아(Cyber Summit Korea, CSK 2025)'에서 이같이 밝혔다.

장 원장은 이날 개회식 이후 기조 연설에 나서 'AI 시대의 사이버안보'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이날 AI의 현주소와 미래 방향성에 대해 소개하고, 각 종류별 AI마다 보안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AI 시대의 사이버안보'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는 장병탁 서울대AI연구원장.

장 원장 발표에 따르면 AI는 ▲판단형 ▲생성형 ▲행동형(에이전틱 AI) ▲피지컬 AI 등으로 구분된다.

입력한 데이터를 학습하고 정해진 값을 도출해내는 판단형 AI의 경우는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데이터와 로그 분석을 통한 이상 징후 조기 탐지, 네트워크 흐름 분석으로 침입 시도 예측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장 원장은 "주로 위협을 사전에 예측하는 데 판단형 AI가 활용될 수 있다"면서 "많은 데이터가 쌓이면 쌓일수록 판단형 AI 능력은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 원장은 챗GPT 등 생성형 AI는 보안 분야에서 공격 시나리오를 모의 실험하고, 가상 시나리오에 대한 대비 등의 형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장 원장은 "생성형 AI는 문서나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특화돼 있는데, 보안 담당자가 제작해야 하는 매뉴얼이나 보고서, 콘텐츠 등에 대해서도 생성형 AI가 자동으로 제작하고 문서화하게 되면 보안 담당자의 업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며 "행동형 AI도 스스로 의사결정하고 자율적인 행동 및 전략을 짜주는 데 특화돼 있는 만큼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도 침해사고 대응 시나리오 등을 자동화하거나, 위협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시스템을 복구하는 형식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피지컬 AI 세계에서는 사이버 보안은 물론 물리 보안까지도 AI가 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예컨대 실제 상황에서 무언가를 감지하고 판단하며 행동하는 경비로봇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관련기사

장 원장은 "지능형 보안 로봇이나 사이버 물류 시스템과 결합한 핵심 시설 물리 로봇 배치 등 물리적인 보완을 AI가 수행하는 등 피지컬 AI 시대에서는 물리보안도 AI가 도움을 줄 수 있다"며 "이처럼 보안 분야에서 AI가 제대로 활용되기 위해선 국제 협력과 파트너십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는 AI시대에 사이버 안보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AI를 적극 활용해 국제적인 역할을 선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이번 CSK 2025 행사는 국가정보원이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공동 주최한 행사다. 지난 8일부터 오는 11일까지 진행되며, 국내외 사이버보안 관계자 3000여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