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의대 교수들이 한국형 ARPA-H 신규과제 3건에 선정됐다.
올해 5개 10개 과제 중 3개 과제의 연구책임을 맡게 된 것. 각각 4년 6개월 동안 175억 원 규모의 연구비를 받게 된다.
우선 강훈철 연세대의대 소아과학교실 교수는 미정복질환 극복 임무에서 ‘소아 희귀 뇌전증 환자 맞춤형 n-of-1 ASO 치료제 개발’ 과제의 연구책임을 맡았다.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이 주관연구개발기관을 맡아 소바젠주식회사, 주식회사 제핏 등도 참여한다.

변석호 안과학교실 교수는 미정복질환 극복 임무의 일환으로 ‘한국인 유전성 망막질환의 주요 원인 변이에 대한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주관 연구개발기관을 맡고, 성균관대‧서울대‧서울아산병원‧진메디신‧서지넥스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정재호 외과학교실 교수도 바이오헬스 초격차 기술 확보 임무에서 ‘양자 기반 병렬형 신약 개발 플랫폼을 통한 차세대 난치암 치료제 개발’ 과제를 맡았다. 연세대가 주관 연구개발기관을 맡아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바오밥에이바비오‧분자설계연구소 등이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