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문가가 인공지능(AI)을 단순 활용하는 시대를 넘어 생존을 위해 AI 중심으로 모든 것을 재편하는 'AI 네이티브'로의 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법무법인 디엘지와 트러스트커넥터는 8일 서울 서초구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북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윤석빈 트러스트커넥터 대표 겸 서강대 AI·SW 대학원 특임교수가 참석해 국내 최초의 AI 네이티브 전방위 안내서로 평가받는 저서 『AI 네이티브 시대가 온다』를 소개하며 미래 생존 전략과 인재상을 제시했다.
윤 대표는 AI를 단순한 '활용 도구'가 아닌 비즈니스와 삶의 본질을 규정하는 '존재 방식'으로 재정의했다. 그는 "서비스에서 AI를 빼면 회사가 존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AI 없이는 사업 모델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 상태가 바로 AI 네이티브라고 강조했다.

소프트웨어 3.0과 M자형 인재…AI 네이티브 시대의 생존 조건은?
윤 대표에 따르면 이러한 변화의 핵심 동력으로는 '소프트웨어 3.0' 시대를 지목된다. 과거 코딩 언어로 기계에 명령하던 시대를 지나 이제는 자연어가 곧 코드가 되는 '창작의 대민주화'가 열렸다는 분석이다. 이 새로운 시대는 거대언어모델(LLM)이라는 운영체제(OS) 위에서 작동한다고 덧붙였다.
AI 네이티브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으로는 'M자형 인재'를 제시했다. 두 개 이상의 전문 분야와 함께 폭넓은 공감 능력 즉 인간성(Mankind)을 갖춘 인재가 핵심이 된다는 것이다. 리더십 역시 정답을 아는 '노잇올(Know-it-all)'에서 최고의 질문을 던지는 '런잇올(Learn-it-all)'로 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윤 대표는 인간과 AI의 관계가 대결이 아닌 '결합'이 될 것이라며 '켄타우로스 모델'을 소개했다. 인간의 직관과 AI의 계산력이 합쳐져 최고의 시너지를 내는 파트너십이 미래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AI 데이터 분야 중심으로 '대규모 인력 재배치'가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불어 그는 AI가 홀로 존재하지 않으며 블록체인 클라우드 데이터(ABCD) 기술과의 '연결과 융합'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AI 에이전트가 스테이블코인으로 거래하는 '자율 경제 에이전트'가 등장하며 기존 플랫폼 경제가 프로토콜 경제로 전환될 것이라 내다봤다.
윤 대표는 "이 책을 통해 AI와 암호화폐를 깊이 이해하는 전문가들이 집단지성을 발휘하도록 하고 싶다"며 "'한국형 페이팔 마피아'를 함께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AI 대가들의 제언 "문제 찾기가 먼저…맹신은 금물"
이어진 토론에서는 국내 AI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모여 AI 네이티브 시대를 진단하고 나아갈 길을 모색했다. 김진형 카이스트 명예교수, 이중학 동국대 교수, 이수화 서울대 연구교수, 방은주 지디넷코리아 전문기자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AI가 국가와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 도구라는 점에 모두 동의했다. 김진형 교수는 "기술은 이미 충분하니 그것으로 무엇을 해결할지 '문제'를 먼저 찾아야 한다"며 "기술 자체에 매몰되기보다 해결 과제에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
다만 한국의 현주소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중학 교수는 "경영진의 말과 달리 실제 기업의 인재 육성이나 조직 문화는 AI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AI 시대의 핵심 자원은 '인재'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신간] AI 네이티브 시대가 온다2025.08.18
- 전 구글 임원 충격 발언…"15년 내 AI 디스토피아 온다"2025.08.11
- 5년간 6개 대학에 285억원 투입해 의료AI 인력 1000명 키운다2025.08.06
- [현장] 'AI 대전환' 앞에 선 韓-핀란드…연세대서 만난 기술과 사회의 미래는?2025.06.25

AI 시대에 필요한 인간의 역량과 AI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도 이어졌다. 이수화 교수는 AI가 인간 노동력의 시공간적 한계인 '도달 불가능점'을 해결해 주는 수단이라 정의했다. 그는 미래 지능은 지식의 양이 아니라 여러 지식을 엮어 자신만의 체계를 만드는 창의 융합 능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방 전문기자는 "AI는 제2의 전기"라며 "전기가 모든 곳에 필요하듯, AI 역시 개인, 기업, 국가의 경쟁력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