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용 드론의 대명사 DJI가 360도 카메라 시장에 첫 도전장을 던졌다. 드론을 통해 하늘을 장악했던 DJI가 이제는 지상에서, 360도로 펼쳐지는 모든 순간을 기록한다.
기자는 오즈모 360을 한 달간 사용해보며 특징을 살펴봤다. DJI가 카메라 시장 전반으로 영향력을 확장하겠다는 선언처럼 느껴졌다.
실제로 Osmo 360을 손에 쥐었을 때 가장 먼저 다가오는 인상은 작고 가벼웠다. 183g 무게는 주머니에 넣어도 부담이 없을 만큼 가볍고, 두 개의 대형 렌즈가 탑재된 기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놀라울 정도다.

휴대성이 뛰어나 언제 어디서든 꺼내 바로 촬영할 수 있었고, 내장 스토리지 105GB 덕분에 메모리 카드가 없어도 즉시 촬영을 시작할 수 있었다.
화질에서는 DJI의 자신감이 그대로 드러났다. 오즈모 360은 세계 최초로 정사각형 HDR 16mm(1인치) 센서를 탑재했다. 덕분에 기존 360 카메라보다 센서 활용률이 25% 높아졌다. 여기에 2.4μm 대형 픽셀과 f/1.9 조리개, 13.5스톱 다이내믹 레인지가 더해져 압도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사무실에서 영상을 찍어보니 어두운 조명 아래에서도 인물의 피부 톤이 자연스럽게 표현됐고, 창가로 들어오는 강한 햇빛과 내부의 어두운 그림자가 동시에 잡히며 디테일이 살아났다.

또 하나 인상 깊은 기능은 인비저블 셀피 스틱이다. 편집 과정에서 따로 지워줄 필요 없이 화면에서 자연스럽게 사라져, 마치 제3자가 촬영한 듯한 결과물이 나온다. 브이로그나 여행 영상에서 흔히 아쉬운 부분이었던 '손에 들린 셀피 스틱'이 말끔히 사라진 덕분에 영상의 완성도가 한층 올라갔다.
여기에 8K/50fps 360도 동영상 촬영은 업계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 단순히 '높은 해상도'라는 수치적 의미를 넘어, 100분 연속 촬영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히 강점으로 다가왔다. 기존 360 카메라로는 장시간 촬영에 제약이 많았지만, 오즈모 360은 장편 여행 영상이나 다큐멘터리 촬영에도 무리 없이 활용할 수 있다.
촬영 모드의 다양성도 크리에이터에게 매력적이다. 4K/100fps 고속 촬영, 최대 4배속 슬로 모션, 자이로프레임을 통한 영상 구도 조정, 인텔리전트 트래킹 기능까지, 상황에 맞게 영상미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뛰면서 찍을 때도 호라이즌스테디와 락스테디 3.0이 흔들림을 잡아줘, 더 안정된 시선으로 영상을 담을 수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오즈모 360이 단순한 360 카메라에 머물지 않고, 단일 렌즈 액션캠으로 변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5K/60fps 평면 영상과 155° 초광각 시야를 지원해 브이로그 촬영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었고, 부스트 모드에서는 170°까지 넓어진 시야각으로 스케일 있는 풍경을 담을 수 있었다.
배터리 성능 역시 돋보였다. 기본 배터리로 8K/30fps 기준 약 100분을 연속 촬영할 수 있었고, 연장 로드를 연결하면 약 280분까지 늘어났다. 현장에서 촬영 중간에 12분 정도 충전해도 50%까지 금세 회복돼 장시간 촬영에 큰 불편이 없었다.
무엇보다 DJI 생태계와의 연동성이 큰 장점이었다. 오즈모 액션 액세서리와 호환되는 마그네틱 퀵 릴리즈 디자인 덕분에 기존 장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DJI 무선 마이크를 직접 연결해 별도 수신기 없이도 스튜디오급 오디오를 확보할 수 있다. 영상뿐만 아니라 음향까지 완성도를 높여주는 셈이다.
관련기사
- DJI, IFA서 드론·카메라 기술 선봬2025.09.01
- DJI, 초경량 무선 마이크3 출시2025.08.29
- 시중 6개사 액션캠 성능 천차만별…'녹화중 작동 중단'2025.08.25
- DJI, 오즈모 360 출시…61만6천원2025.08.01

오즈모 360은 DJI의 첫 360 카메라라는 상징성을 넘어 360 카메라 시장 판도를 바꿀 만한 제품이다. 작은 크기와 8K 화질, 긴 배터리, 다양한 촬영 모드, 그리고 DJI 생태계와의 호환성까지. 드론으로 하늘을 장악한 DJI가 이제는 360도 카메라로 지상과 주변 모든 풍경을 장악하려는 듯하다. 그 야심찬 첫 걸음을 강력하게 증명해냈다.
국내 출시가는 스탠더드 콤보 기준 약 61만6천원, 어드벤처 콤보는 약 77만원이다. 액션캠과 360 카메라를 모두 아우르는 성능을 감안하면 투자할 가치가 있는 장비임을 직접 써보며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