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이 ‘가벼운 플레이’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글로벌 게임사들이 퍼즐·전략·캐주얼 장르를 앞세워 시장을 잠식했고, 국내 게임 시장에서도 역시 짧은 플레이타임과 낮은 과금을 무기로 흥행에 성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이지에이웍스가 22일 서울 역삼동 마루180에서 개최한 세미나 ‘데이터로 보는 모바일게임 시장의 기회와 생존전략’에서 김준형 매니저는 “짧아진 모바일 이용 시간과 변화한 행태가 시장 구조를 바꾸고 있다”며 “국내 게임사들도 이 흐름에 맞춘 전략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데이터가 이를 뒷받침한다. 2021년 리니지W와 오딘은 각각 월 매출 1천600억원을 넘기며 RPG 전성기를 이끌었지만 이후 모바일 이용 시간이 감소하면서 RPG 매출 비중은 75%에서 50% 수준으로 축소됐다.

대신 로열매치, 탕탕특공대 같은 글로벌 퍼즐·캐주얼 게임이 높은 재방문율을 기록하며 시장을 차지했고, 올해 상반기에는 ‘마비노기 모바일’과 ‘세븐나이츠 리버스’가 짧은 플레이타임과 낮은 ARPPU에도 흥행에 성공했다.
김 매니저는 차세대 성장축으로 서브컬처 장르를 지목했다.
그는 “서브컬처 게임은 캐릭터와 서사를 소비하는 형태가 OTT나 SNS 이용 패턴과 닮아 있다”며 “짧은 플레이타임에도 퍼즐 장르보다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교차 이용률이 높아 하나의 성공작이 장르 전체 확장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브컬처 게임은 2021년 매출 상위권 타이틀이 2개에 불과했으나 2025년 7월에는 15개로 늘어나며 존재감을 키웠다.
관련기사
- 한국모바일게임협회, 2025 인디크래프트 'IR 데모데이' 성료2025.08.14
- 한국모바일게임협회, '2025 인디크래프트' 조직위원회 출범2025.06.26
- 니즈퍼샌드, 한국모바일게임협회와 MOU 체결...중소게임사 글로벌 시장 진출 돕는다2025.01.21
- "AI·초혁신경제로 잠재성장률 3% 회복"…李정부 경제 첫 청사진2025.08.22
이번 세미나는 국내 게임사들에게 전략 전환을 제안하는 자리였다.
김 매니저는 “국내 게임사들이 여전히 MMORPG 공식을 답습한다면 글로벌 게임사에 주도권을 내줄 수밖에 없다”며 “이제는 가벼운 플레이와 서브컬처 중심의 시장 구조를 전제로, IP와 팬덤을 기반으로 한 장기 운영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