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서 칼럼] 닥터 스트레인지와 르 귄의 소설 ‘The Lathe of Heaven‘

전문가 칼럼입력 :2025/08/22 11:50

박우진 이랜서 대표

 이랜서 칼럼'은 ‘IT를 기반으로 자유롭게 일하는 21세기형 전문가를 지칭하는 ‘이랜서’(e-Lancer)들이 21세기형 일과 생활에 대한 인사이트와 노하우를 공유하는 장입니다. IT인재 매칭 플랫폼 이랜서의 박우진 대표가 몇 달간 SF소설속 여행으로 독자 여러분을 안내합니다.(편집자 주)


 2016년 개봉한 마블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에는 독특한 한 장면이 있다 의사인 스티븐 스트레인지는 손의 신경손상으로 절망하던 중, 티벳의 신비로운 장소 ‘카마르타지’를 찾아간다. 그리고 그곳에서 에인션트 원(The Ancient One)에게 “현실이란, 즉 마음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은 뒤, 그녀의 손가락 끝에 이마를 한 번 찔리자, 말 그대로 ‘의식의 차원’이 산산이 부서지게된다.

그는 자신의 육체에서 분리된 채로 영체상태가 되고, 수없이 많은 차원을 빠르게 통과하며, 심지어 몸이 늘어나고, 몸이 쪼개지고, 안에 우주가 펼쳐지는 장면이 연출된다.

박우진 이랜서 대표

 이 장면은 시각적으로는 마치 살바도르 달리의 초현실주의 회화를 떠올리게 하고, 철학적으로는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가 과연 실제일까?”라는 깊은 질문을 던진다.  에인션트원이 질문한 그 문장 “What is real?”은 인류가 수천년동안 해온 질문이다. 인류는 아직도 답을 찾지 못했다.

필자도 독자들에게 같은 질문을 하면서 르 권의 SF소설과 reality를 나누고자 한다. 에인션트원은 질문한다.”너의 감각들 너머에는 어떤 신비한 것들이 있는지 아는가? 실존의 깊은 바닥에서는 정신과 물질이 나누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저자의 의역)

이에 대한 대답은 어슐러 K. 르 권의 소설, The Lathe of Heaven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바로 꿈과 현실간의 마법에서 말이다. 르 귄의 소설에서는 꿈이 현실을 변형시킨다. 그러나 이 장면은 단순한 환각적 영상에 그치지 않는다.

SF고전중 고전인 어슐러 르 귄(Ursula K. Le Guin)의 소설 'The Lathe of Heaven』(1971)'에서 주인공 조지 오어(George Orr)는 꿈을 꾸면 현실이 바뀌는 능력을 가진 인물이다. 그는 자신이 현실을 바꾸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힘들어하지만, 이를 알아챈 정신과 의사는 그의 능력을 통제해 세상을 의도적으로 바꾸려 시도한다.

하지만 인위적인 개입은 점점 현실을 더 비극적으로 왜곡시켜 모두가 더 불행해진다, 조지는 ‘유토피아적 개입은 오히려 디스토피아를 낳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결국 조지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더 이상 세상을 바꾸려 하지 않는다. 대신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살아간다.

이 작품은 단순한 초능력 이야기가 아니다. 오히려 “현실은 무엇인가?”, “의식은 현실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 “개인이 꾸는 꿈이 전체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라는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이런 구조는 닥터 스트레인지에서 스티븐이 마법을 배우며 경험하는 다차원의식 체험과 유사하다. 그는 기존의 유클리드 공간(3차원공간)에 갇힌 사고에서 벗어나, 마음이 공간을 구성하고, 시간마저 조작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체득하게 된다. 즉 마음이 현실을 지배하고 만들어간다는 에인션트원의 질문에 대한 깨닫게 된다.

닥터 스트레인지가 다루는 또 하나의 철학적 주제는 과학과 마법의 경계에 대한 이야기다. 아서 클라크(Arthur C. Clarke)는 1962년 ‘Profiles of the Future‘에서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필자가 너무 좋아하는 말이라서 원어도 같이 적어본다.

“Any sufficiently advanced technology is indistinguishable from magic.”

(충분히 발전한 과학은 마법과 구별되지 않는다.)

카마르타지에서 배우는 마법은 겉보기엔 연금술이나 요술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차원이동, 양자구조조작, 시간의 흐름 왜곡 같은 현대 이론물리학의 언어로 해석될 수 있는 개념들이다.

특히 ‘아스트랄 투영’, ‘거울차원’, ‘타임스톤’ 등은 양자역학, 끈이론, 멀티버스 이론을 시각화한 것처럼 볼 수도 있다. 즉, 닥터 스트레인지의 마법은 아서 클라크가 말한 ‘마법처럼 보이지만 과학일 수 있는’ 기술의 극한을 상징한다.

닥터 스트레인지는 슈퍼히어로 영화이면서도 철학적 장면을 깨우는 죽비처럼 다가온다.  그래서 그런지 영화를 재탕, 삼탕 보게 된다. 그리고 볼 때마다 새로운 생각을 하게 된다. 고통과 상실에서 출발한 스트레인지의 여정은, 결국 현실을 인식하는 방식 자체를 전복시키는 경험으로 이어진다.

돌이켜 보면 현대 과학이 양자얽힘, 다중우주, 시공간곡률 등으로 설명하려는 것들은, 이미 수십 년 전 SF 작가들이 ‘의식’이라는 키워드로 상상한 세계였다. 마블은 이 점에서 과학과 철학, 문학과 영화를 융합한 독특한 접점을 만들어냈다.

닥터 스트레인의 한 장면은, 단순한 특수효과가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현실’이라고 믿고 있는 것조차, 하나의 인식일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그리고 이 메시지는 어슐러 르 귄의 소설에서, 아서 클라크의 문장에서,이미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다.

다음번에 닥터스트레인지 영화를 다시 본다면, 그의 마법을 ‘기술’로, 그의 여행을 ‘의식의 확장’으로 이해해보길 권한다. 그 순간, 마블 영화는 단지 액션이 아니라, 현대 SF 철학의 체험이 된다.

의식과 변화에 관한 르 귄의 유명한 구절을 독자들과 나누며 마치고자 한다.

관련기사

“When the genuine myth rises into consciousness, that is always its message. You must change your life." 진정한 신화가 우리 의식속에 떠오른다면 그건 현재의 삶을 변화시키라는 메시지라는 뜻이다.

이번 칼럼을 통해 독자들이 각자의 의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현실의 좋은 발전이 있었으면 한다.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