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가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시행을 앞두고 가상자산을 악용한 자금세탁 및 불법활동 탐지 기술에 대한 공공 제안을 요청했다고 미국 가상자산 매체 코인데스크가 19일 보도했다.
이는 미국 최초의 종합 가상자산 규제법인 지니어스법 시행 초기 조치 중 하나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60일간 '디지털 자산 관련 자금세탁 등 불법활동을 탐지하기 위한 혁신적 또는 신규 기법, 전략, 기술'에 대한 금융기관 및 민간 부문의 의견을 공식 요청했다.

미 재무부는 금융기관들이 현재 사용 중이거나 활용 잠재성이 있는 기술 및 절차에 대해 집중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계획이다. 제출된 의견은 향후 스테이블코인 발행기관에 대한 감독 기준 수립 및 감시 체계 정비에 반영될 전망이다.
지니어스법은 완전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을 규율하는 첫 연방법으로 지난 7월 의회를 통과한 이후 본격적인 시행 단계에 돌입했다. 하지만 연방 규제기관들의 세부 집행과정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스테이블코인 행정입법 10월 윤곽…"외화 발행 규제 소홀해선 안돼"2025.08.18
- 스테이블코인 공방…은행 "발행요건 높여야" vs 플랫폼 "개방형 경쟁으로"2025.08.18
- 장현국 넥써쓰, 달러·원화 아우르는 단계적 스테이블코인 전략 제시2025.08.18
- "기업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유통, 금산분리 아냐"2025.08.18
특히 미국 통화감독청(OCC),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등 기존 은행 규제기관들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대한 승인, 검사, 회계 기준 등을 마련해야 하며 이번 재무부의 의견 수렴은 이러한 초기 준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지니어스법은 관련 규제안이 마련된 뒤 120일 혹은 법 제정 후 18개월 이내에 발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