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반도체부터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연합 전선을 구축해 국가대표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에 나선다. 막대한 자체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와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최적화를 통해 고성능·고효율 AI를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SK텔레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정예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SK텔레콤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 국내 LLM의 규모를 뛰어넘는 초거대 AI 모델 개발에 나선다.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옴니모달(Omni-Modal)’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자체 보유 슈퍼컴퓨터인 타이탄(TITAN)에서 A.X 모델의 학습을 진행했는데, 앞으로는 컨소시엄 차원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과제를 위해 대규모 자원을 자체 조달해 보다 고차원의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 SK텔레콤은 리벨리온의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아톰맥스'에 모델을 최적화해 효율성 극대화에 나선다. 자체 보유한 슈퍼컴퓨터 '타이탄'에서 AI 모델 '에이닷엑스(A.X)'를 개발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텍스트·이미지·음성·비디오를 모두 처리하는 '옴니모달'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SK텔레콤은 막강한 산학연 연합을 꾸렸다. 컨소시엄에는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등 기술 기업과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등 국내외 최고 연구진이 참여한다.
컨소시엄 내에서 크래프톤과 포티투닷은 각각 멀티모달 설계와 온디바이스 모델 개발의 핵심 역할을 맡는다. 셀렉트스타는 데이터 가공 플랫폼 '캐시미션'과 신뢰성 검증 솔루션 '다투모 이밸'을 통해 모델의 안정성과 데이터 품질을 책임진다.
관련기사
- SKT, 1분기 영업이익 5674억…전년비 13.8%↑2025.05.12
- SKT, 'AI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참여기업 모집2025.04.09
- SKT '에이닷'에 구글 제미나이 최신 버전 추가2025.03.18
- "10년 후 어떤 회사인가요"...SKT 신입사원에 질문한 유영상 CEO2025.01.22

SK텔레콤 컨소시엄은 이미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등 그룹 관계사와 몰로코, 씨메스 등 K-AI 얼라이언스 참여사를 포함해 20여 곳으로부터 모델 사용 의향서를 확보한 상태다. 이는 개발 초기부터 확실한 수요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김지원 SK텔레콤 AI 모델 랩장은 "업계 선도 기업들의 준비된 기술력과 실행력으로 국민 일상 속 AI를 위한 최고 수준의 한국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