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화재 흔적 감정한다…국과수, 원격감정 플랫폼 'ATRIP' 본격 운영

현장에서 실시간 단락흔 분석 가능…감정서 자동 생성으로 수사 효율↑

컴퓨팅입력 :2025/07/28 14:06

행정안전부가 수주가 걸리던 화재 감정 현장 디지털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

행안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화재 원인을 신속하게 감정할 수 있는 'AI 기반 단락흔 원격감정 플랫폼'인 'ATRIP'을 개발해 이달 부로 전국 지방 경찰청에 배포하고 본격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지디넷코리아 DB)

이를 통해 경찰에서는 ATRIP를 통해 화재·사고 현장에서 촬영한 단락흔의 영상과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국과수 감정 의뢰를 할 수 있게 됐다.

특히 AI를 통해 일차적으로 판별된 결과는 국과수의 단락흔 원격감정 담당관이 최종 검토하면 자동으로 감정서가 생성·회보된다.

그동안 단락흔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경찰의 감정 의뢰에서 국과수 감정서 회보까지 평균 3~4주의 기간이 소요됐으나, 이제는 화재·사고 현장에서 앱으로 수 시간 내에 단락흔 감정 결과를 받아볼 수 있는 원격감정 시대가 열리게 됐다.

또 반복적인 감정 절차를 자동화해 국과수의 감정 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국과수는 단락흔뿐만 아니라 화재 현장에서 감정이 필요하다고 의뢰되는 다양한 흔적 판별 증거물에 대해서도 AI 자동 감정 기능을 확장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번 ATRIP부터 시작되는 AI 활용 원격·자동 감정은 안전사고 전 분야에 걸쳐 신속하고 정확도 높은 감정 결과를 제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수사 혁신 도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게 행안부 측 기대다.

이봉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은 "원격감정 플랫폼은 수사 현장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용적인 AI 활용 사례"라며 "앞으로도 수사기관의 의견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감정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