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은 25일 올해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가 매우 견고해 이에 대응하고자 현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능력(CAPA)이라는 강점을 활용하려 한다"며 "(전기차 고객사와의)합작법인(JV)조차도 일부 CAPA는 ESS를 우선 공급하는 데 활용해 가동률을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기차 수요가 상대적으로 둔화되는 것에 따른 조치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하반기 북미 전기차 배터리 수요 전망에 대해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폐지로 OEM들의 전동화 사업 속도 조절과 보수적 재고 운영 기조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매출 성장 모멘텀은 당분간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보인다"고 했다.

관련기사
- [1보] LG엔솔, 2Q 영업익 4922억…전년比 152% ↑2025.07.25
- LG엔솔, 독일서 中 배터리에 특허 침해 소송 승소2025.07.24
- SK온도 양산 채비…K배터리 ‘美 ESS’ 3파전 본격화2025.07.17
- LG엔솔, 대전 기술연구원서 산학협력 컨퍼런스 진행2025.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