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침투 막아라"…오픈AI, '정보 격리·지문 인증' 통해 보안 강화

정보 유출·인재 이탈 우려 복합…내부 통제·외부 방어 동시 조치

컴퓨팅입력 :2025/07/09 10:05

오픈AI가 독점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해 조직 전반에 걸쳐 물리·정보 보안을 대폭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기술 접근을 제한하고 외부 연결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비인가 접근과 내부 유출을 동시에 봉쇄하려는 조치다.

9일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지난 1월 중국 딥시크가 회사의 기술을 증류(distillation) 방식으로 모방한 정황을 문제 삼으며 내부 보안 통제를 대폭 강화했다. 회사 측은 딥시크가 '챗GPT' 계열 모델에서 추출된 지식을 기반으로 유사 성능을 구현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오픈AI는 주요 프로젝트별로 접근 권한을 구분해 특정 모델 개발 상황을 조직 내에서도 일부 인원만 알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다. 실제로 'o1' 모델 개발 당시 프로젝트에 공식 등록된 인력 외에는 사무실 내에서조차 관련 대화를 나눌 수 없도록 조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샘 알트먼 오픈AI CEO (사진=지디넷코리아)

물리 보안 강화도 병행됐다. 오픈AI는 핵심 기술을 오프라인 컴퓨터에 격리해 저장하고 사무 공간에는 지문 인식 등 생체 인증 기반 출입통제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사내 네트워크는 원칙적으로 외부 연결이 차단돼 있으며 인터넷 접속은 개별 승인 절차를 거쳐야만 가능하다. 외부 침입뿐 아니라 내부 경로를 통한 정보 유출까지 봉쇄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테크크런치는 "이번 조치는 해외 세력의 오픈AI 지식재산 탈취 시도에 대한 광범위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미국 내 AI 기업 간 인재 유출 경쟁과 샘 알트먼 최고경영자(CEO)의 발언이 잇따라 외부로 새는 상황을 고려하면 내부 보안 통제 강화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