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기술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만나 생각만으로 로봇 손을 움직이는 기술이 개발됐다고 과학전문매체 인터레스팅엔지니어링이 최근 보도했다.
미국 카네기멜론대학 생체공학과 빈 헤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사용자가 손가락 움직임을 상상하는 것만으로 로봇 손을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해당 연구는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해당 시스템을 사용한 자원봉사자들은 근육을 하나도 움직이지 않고 생각만으로 로봇 손가락 2~3개를 사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빈 해 교수는 "연구 참가자들이 생각만으로 여러 손가락을 사용하는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딥러닝 기반 디코딩을 이용해 사용자의 뇌파 신호를 로봇 손가락 동작으로 변환시킨다. 신경망은 사용자의 운동 의도를 지속적이고 정확하게 디코딩하도록 미세 조정되었고 이를 통해 기존 뇌파 기반 제어 기술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했다.
빈 해 교수는 20년 넘게 비침습적 BCI를 개발해 온 전문가로, 그의 연구진은 이미 뇌파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드론 비행과 로봇 팔 등을 개발해 선보인 바 있다. 그는 "손 기능을 개선하는 것은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에게 최우선 과제다. 조금만 개선해도 능력과 삶의 질이 의미 있게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뇌파로 아이폰 제어"…애플, 아이폰에 마인드 컨트롤 기능 추가2025.05.14
- 뇌에 컴퓨터 칩 이식했더니…"생각만으로 게임한다"2024.03.21
-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뇌 탑재한 로봇 나왔다2024.07.03
- 마디마다 구동기 탑재…정교한 로봇손에 숨겨진 비밀2025.07.03
특히 그가 개발한 BCI 시스템은 수술이 필요 없는 비침습적 BCI로, 위험이 없으며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동 장애가 있거나 부상에서 회복 중인 사람을 포함한 훨씬 더 광범위한 계층에게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그는 "이 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력은 비침습적 BCI의 임상적 관련성을 높이고 더 광범위한 인구에 적용하는 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