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공간 속 ‘함께 걷는 경험’을 통해 미래 인터페이스의 가능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시가 화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AI융합학과 윤정원 교수 연구팀이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메타버스 엑스포’에 초슬림·초고속 360도 전 방향 트레드밀을 활용한 메타버스 보행 상호작용 플랫폼 기술을 공개중이다.
GIST가 공개한 이 기술은 단순한 가상현실 체험을 넘어, 가상 공간에서의 ‘동반 보행’을 통해 사용자의 감각적 연결과 몰입을 구현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다.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는 ‘이머시브 체험존’ 중심에는, 플랫폼 위에서 HMD(머리 탑재형 디스플레이)를 착용한 두 사람이 나란히 가상 공간을 걷는 독특한 장면이 펼쳐진다. 실제 걷는 움직임에 기반한 몰입형 체험을 제공하는 차세대 보행 인터페이스 ‘전 방향 트레드밀’을 통해 구현된 장면이다.
이 장치는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다중 사용자 보행 시스템으로, HMD를 통해 눈앞에 펼쳐지는 가상 경로를 따라 트레드밀 위를 걷게 된다. 친구, 연인, 가족 단위로 체험할 수 있다.
기술적 완성도도 관심거리다. 이 시스템은 두께 24cm의 초슬림 구조로 설계,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4m/s의 고속 보행이 가능한 설계를 통해 현실감 있는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
관련기사
- 공간효율 배터리 수준…GIST, 차세대 슈퍼커패시터 개발2025.05.19
- GIST, 국내 10번째로 '300kV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 도입2025.01.08
- "애플 '비전프로'만 기다린다"…엔피, 브랜드 콘텐츠 사업부 신설2024.07.12
- [ZD브리핑] 트럼프 만난 이 대통령, 대미 투자 발표 주목…국회 결산 논의2025.08.24
내부에는 헬리컬 기어 기반 평면 동력전달 메커니즘(PHTM)이 적용돼, 방향 전환과 회전 동작을 정밀하게 처리한다.
윤정원 교수는 “두 사람이 함께 걷고, 속도를 맞추고, 목표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메타버스 속 ‘공존’의 의미를 실험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기술의 사회적 확장성과 실효성을 지속 모색해 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