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부동산 분양에 따른 일회성 이익으로 수익성이 껑충 높아진 성적표를 내놨다.
KT는 지난 1분기 연결기준 매출 6조8천451억원, 영업이익 6천888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배디 2.9% 늘어난 수치다. 영업익은 36% 급증했다.
별도기준 매출은 4조6천820억원, 영업익은 4천1억원이다.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기반 확대와 알뜰폰 사업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0% 늘어난 1조7천53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5G 가입자 비율은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8.9%를 차지했다.
유선 사업 매출은 1조3천117억원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다. 초고속인터넷과 미디어 사업의 성장에도 연간 10% 가량 매출이 줄어든 유선전화의 영향을 피하지 못했다.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998만4천에 도달했다. 기가인터넷 가입 비율은 69.4%다. IPTV 가입자는 943만8천이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저수익 사업 합리화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한 8천922억원을 기록했다. AICC, IoT, 클라우드 등의 AI IT 사업은 연간 10.2%의 성장세를 보였다.
KT클라우드는 2천491억원의 매출을 기록, 연간 42.2%의 성장세를 보였다. 글로벌 고객사의 IDC 이용율 확대와 구축형 사업 매출 증가에 따른 것이다.
BC카드는 국내 매입액 감소 영향에 전년 대비 6.8% 감소한 8천72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3월 말 기준 고객 수 1천363만명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32.0% 증가했다. 동시에 수신 잔액은 27조8천억 원, 여신 잔액은 16조9천억 원으로 각각 15.9%, 14.8% 성장했다.
그룹사 ‘넥스트커넥트PFV(NCP)’를 통해 구의역 일대 강북본부 부지에 개발한 롯데 이스트폴 아파트 입주가 지난 3월에 시작됨에 따라 분양 매출과 이익이 이번 1분기 실적에 일부 반영됐다.
관련기사
- 협업 솔루션에 통화망 연동...KT, MS 팀즈폰 출시2025.05.07
- KT, 소상공인 전용 인터넷 '포스넷 플러스' 출시2025.05.02
- 에너지 안보가 곧 국가 경쟁력…전력 인프라 대전환 시급2025.05.09
- "입는 로봇, 스마트폰처럼 쓰게 될 것…라인업 다각화 계획"2025.05.09
KT에스테이트는 호텔, 오피스, 개발 등으로 구성된 다각화된 자산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KT 대전인재개발원 부지에 추진 중인 860세대 규모의 공동주택 개발사업은 분양이 100% 완료되어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했다.
장민 KT CFO는 “KT는 올해 B2B AX 분야를 중심으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 AICT 기업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하겠다”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성실히 이행해 KT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