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 정식 출시된 에픽게임즈의 대표작 ‘포트나이트’가 서비스 8주년을 앞두고 있다.
배틀로얄 장르에서 출발한 포트나이트는 현재 수십만 개의 콘텐츠가 공존하는 게임 플랫폼이자 문화 공간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8일 에픽게임즈에 따르면, 이 같은 플랫폼화 흐름은 수치로도 확인된다. 지난달 기준 포트나이트에는 약 19만 개의 ‘섬’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에픽게임즈뿐 아니라 크리에이터, 브랜드, 일반 이용자가 제작한 콘텐츠를 포함한다. 이용자는 포트나이트 안에서 배틀로얄을 포함해 어드벤처, 시뮬레이션, 리듬 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선택해 즐길 수 있다.

대표적인 콘텐츠로는 ‘레고 포트나이트’가 있다. 레고 블록 조립과 탐험 기반 생존 시스템을 결합한 이 독립형 어드벤처는 전 연령층에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음악 기반 콘텐츠인 ‘포트나이트 페스티벌’은 아티스트 음원을 활용한 리듬 게임으로, 시즌별 테마 아티스트의 트랙과 아이템이 함께 제공된다. 그 외에도 빠른 전개가 특징인 ‘리로드’, 건설 요소를 배제한 ‘빌드 제로’, 실력 기반 경쟁 시스템을 도입한 ‘랭크 배틀로얄’ 등 다양한 모드가 함께 운영되고 있다.
에픽게임즈는 2023년 ‘포트나이트 언리얼 에디터(UEFN)’를 도입해 창작자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확대했다. 이를 통해 누구나 포트나이트에서 직접 게임을 제작하고, 플레이어 참여도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2024년 한 해 동안 크리에이터에게 지급된 보상은 총 3억5천200만 달러(약 5천억 원)에 달하며, 유저들은 크리에이터 제작 콘텐츠를 52억3천만 시간 이상 플레이한 것으로 집계됐다.

음악 콘텐츠도 포트나이트 플랫폼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다. ‘포트나이트 페스티벌’은 시즌별로 선정된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시즌 8 아이콘은 사브리나 카펜터다.
이전 시즌에는 위켄드, 레이디 가가, 빌리 아일리시, 메탈리카, 하츠네 미쿠 등 다양한 글로벌 아티스트가 참여했다. 특히 방탄소년단(BTS)은 2020년 ‘Dynamite’ 무대를 포트나이트에서 공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후에도 K-팝 대표 아티스트로서 꾸준히 협업을 이어갔다.
2024년 11월 열린 라이브 이벤트 ‘리믹스: 더 피날레’에는 스눕 독, 에미넴, 아이스 스파이스, 주스 월드 등이 출연했으며, 총 1천400만 명의 동시 접속자와 300만 명 이상의 온라인 스트리밍 시청자를 기록했다. 에픽게임즈는 이처럼 실시간 공연과 게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포트나이트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1억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배틀로얄, 레고 포트나이트, 페스티벌, 크리에이터 게임 등 주요 콘텐츠군은 각기 독립된 게임처럼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하나의 IP에서 다수의 대형 콘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는 구조로, 기존 게임 운영 방식과는 차별화된다.
관련기사
- 에픽게임즈 '포트나이트 배틀로얄', 첫 스타워즈 시즌 '갤럭시 배틀' 공개2025.05.02
- 에픽게임즈 레고 포트나이트, '잃어버린 섬' 업데이트 진행2024.09.19
- 아이폰서 사라졌던 '포트나이트', 4년만에 돌아온다2024.08.17
- 에픽게임즈 '포트나이트', '캐리비안의 해적' 의상 팩 선보여2024.07.22
이와 함께 에픽게임즈는 외부 브랜드 및 IP와의 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나루토, 드래곤볼,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같은 인기 애니메이션·영화 콘텐츠를 비롯해, 나이키와 몽클레르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 NBA, 르브론 제임스, 존 윅 등과의 협업 사례도 다수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포트나이트의 세계관을 확장하는 동시에, 대중문화와 게임 간 경계를 허무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에픽게임즈 관계자는 “포트나이트는 게임을 넘어 다양한 산업이 함께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창작자, 브랜드, 이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열린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