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미국발 관세 영향에 대해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이라고 전망을 내놨다.
조 CEO는 24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특별 강연에 앞서 취재진을 만나 "관세 인상 폭이 우리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면 가격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며 "미국 공장 증설은 사실상 가장 마지막 단계"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 정부는 국가별 상호관세는 유예하고 전 세계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보편관세)만 부과한 상태다. 10%의 기본관세는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LG전자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제조하고 있다. 멕시코 공장에서는 냉장고와 TV를, 베트남에서는 냉장고와 세탁기 등을 생산한다.
한편 조 CEO는 이날 '기술로 완성하는 경험의 혁신'을 주제로 강연했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재학생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객경험 차별화를 위한 LG전자의 노력을 설명했다.
관련기사
- LG전자, 한전·한화와 '전력소비 절감형 데이터센터' 개발 맞손2025.04.25
- [컨콜] LG전자 "냉난방공조 담당 ES사업본부 내년 매출 10조원 목표"2025.04.24
- [컨콜] LG전자 "세탁기·건조기 등 美 테네시로 생산지 이전 계획"2025.04.24
- [컨콜] LG전자 "인도법인 IPO 서두르지 않아…시점 검토 중"2025.04.24
조 CEO는 강연에서 "뛰어난 제품과 앞선 기술도 중요하지만, LG전자가 하는 모든 일의 본질은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혁신 제품 개발 사례를 소개했다.
조 CEO는 2021년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인재 경영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북미 테크 콘퍼런스를 직접 주관한 데 이어, 이달 초에는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LG그룹 이공계 인재 초청 행사인 LG 테크 콘퍼런스에 참석하는 등 우수 인재와의 접점을 키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