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美 관세 회피 심리로 2분기 일시적 수요 늘어날 것"

"어느 업체보다 유연하고 빠르게 대응 자신"

카테크입력 :2025/04/25 15:20

"6월 이후 7월 기존 재고가 소진되는 하반기 이후에는 관세에 대한 영향을 만회하기 위해 경쟁사들의 가격 인상이라든지 다른 어떤 전략을 취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관세에 대한 임팩트(영향)는 전 완성차(OEM)가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김승준 기아 재경본부장 25일 열린 기업설명회(IR) 컨퍼런스콜에서 미국 자동차 및 부품 25% 관세 부과 영향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선수요가 있는 상황에서 과연 어느 정도의 인센티브를 운영하는 것이 적정한지는 계속 확인을 하고 있으며 차종에 맞는 인센티브 운영 전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겠다"며 "하반기 오히려 수요 감소 요인을 걱정하고 있고 전 OEM이 동등하게 산업 수요 빠지는 것을 동일하게 받지 않으리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기아 EV9 GT (사진=기아)

이어 "그 와중에 마켓 셰어(점유율)을 잃는다거나 자기 포지션(위치)을 잃는 업체들이 분명히 있을 것으로 보고 기아는 과거에 어려운 시기에 계속 한 단계 레벨업하는 모습을 보였고 유연하게 빠르게 대응하는 기본적인 체력을 갖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기아는 기본적으로 미국 관세 대응을 위해 미국에서 생산하는 차종은 미국에서만 판매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조지아 공장에서 생산되는 차종이 캐나다, 멕시코 등 여러 권역으로 수출하고 있지만 이를 모두 미국 내 판매로 돌리겠다는 뜻이다.

김승준 본부장은 "장치 산업의 고정비라는 부분이 얼마나 무서운지 매출 원가율 1% 낮추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뼈저리게 알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플랜으로 계속 접근할 것"이라며 "일시적인 비용 조정 같은 것보다는 장기적으로 회사가 탄탄한 체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접근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