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BYD 시장 진입 제한…테슬라에만 문 열어

타타·마힌드라 등 토종 기업 보호 위해 고관세 정책 유지

디지털경제입력 :2025/04/09 09:51

인도 정부가 중국 전기차 기업 BYD의 시장 진입을 사실상 제한하며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했다. 반면, 미국 테슬라의 투자는 유치하는 분위기로, 미·중 기업에 대한 온도차가 뚜렷해지고 있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피유시 고열 인도 상공부 장관은 뭄바이에서 열린 ‘인도 글로벌 포럼’에서 “현재로서는 BYD에 대한 투자는 허용되지 않는다”며 “인도는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위해 누구에게 투자를 허용할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BYD는 지난해 인도 현지 파트너와 함께 약 10억 달러 규모 전기차 투자를 제안했지만 인도 정부는 이를 거절했다. 중국 자동차 기업 그레이트월모터스(GWM) 역시 규제 승인 실패로 인도 시장에서 철수한 바 있다.

중국 동부 산둥성 옌타이항에 정박한 BYD 최초의 롤온/롤오프 선 (사진=BYD)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이 보복 관세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오는 지난 8일부터 최대 50% 추가 수입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면서 미·중 무역 갈등은 고조되고 있다.

인도의 이번 결정은 보호무역주의적 기조와 자국 산업 육성 전략이 결합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인도는 현재 완성차 수입에 대해 최대 100%의 관세를 적용하며 자국 완성차 업체를 보호해 왔다. 이는 미국(2.5%), 독일(10%), 중국(25%) 등 주요국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미국과 유럽연합과의 자유무역 협상이 속도를 내면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자동차 시장을 외국 업체에 개방해야 한다는 압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고열 장관은 “인도는 선진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협상 여지가 크지만, 중국의 덤핑에는 신중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는 여전히 높은 관세 장벽을 이유로 인도 진출을 망설이고 있으며, BYD는 투자 허가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반면, 타타모터스, 마힌드라등 인도 토종 완성차 기업은 전기차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인도 정부는 탄소감축을 위해 전기차 생산에 대한 보조금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들은 외국 기업의 진입을 막기 위해 관세 완화에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