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게임사 주총 마무리… IP·글로벌 공략에 방점

불확실성 속 미래 해법은 ‘지식재산권 강화’와 ‘해외 시장 확장’

게임입력 :2025/04/01 12:16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최근 정기 주주총회를 마무리했다. 대내외적인 불확실성 속에서 게임사들은 지식재산권(IP) 강화와 글로벌 공략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게임업계에 따르면 넷마블을 끝으로 지난달 31일 주요 게임사들의 주총 시즌이 마무리됐다.

엔씨소프트는 올해 전략으로 ▲운영 고도화를 통한 기존 IP 경쟁력 유지 ▲신규 개발 및 퍼블리싱 작품의 게임성 극대화 ▲신규 투자 및 인수합병(M&A)을 통한 장르별 클러스터 구축 ▲퍼블리싱 역량 강화를 위한 인재 확충 및 개발사 협업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엔씨소프트, 제28기 정기 주주총회 개최

박병무 대표는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순 없지만, M&A를 통해 장르별로 큰 클러스터를 형성하려고 한다”며 “M&A와 투자에 대해 많은 분들이 노력하고 있으며,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장르에 대한 퍼블리싱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인재를 대내외적으로 확충했으며, 추가적인 선임 작업도 진행 중”이라며 “외부 개발사와의 협업을 계속 확대하고 있고, 북미 리더십 확충에 이어 유럽과 동남아로도 리더십 확충을 추진 중이다. 고도화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통해 마케팅비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조직 내 업무 수행 효율화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크래프톤은 향후 5년간 매년 최대 3천억원씩, 총 1조5천억원을 신작 개발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얼리 액세스(앞서 해보기)를 시작한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inZOI)’는 장기 흥행 프랜차이즈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2027년 출시 예정인 이영도 작가의 판타지 소설 ‘눈물을 마시는 새’ 기반 게임도 순조롭게 개발 중이다. 김창한 대표는 “한국에서 팬층이 두터운 IP인 만큼 세계 시장에서도 제대로 선보이고 싶다는 목표로 개발 중”이라며 “다만 최근 트리플A 게임의 글로벌 성과가 부진해 게임플레이 측면에서 개선 중이며, 일정 조정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보유한 배틀그라운드 IP의 프랜차이즈화로 약 60%, 신규 IP로 40%를 달성해야 한다는 내부 목표를 설정했다”며 배틀그라운드 의존도 완화를 위한 IP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을 밝혔다.

넷마블 제 14기 정기 주주총회

넷마블은 정기 주총에서 김병규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을 확정했다. 권영식 대표는 신설된 ‘경영전략위원회’의 주요 의사결정자로 참여, 그간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넷마블 산하 개발사의 개발 역량강화와 넷마블 게임사업 전략에 기여한다.

김병규 대표는 주주총회 인사말을 통해 “2024년은 '나 혼자만 레벨업:ARISE', '레이븐2' 등 주요 신작의 성공적인 출시와 비용 효율화 효과가 본격화되며 매출 성장과 수익성 회복의 기틀을 마련한 의미있는 한 해”였다고 밝혔다.

또한 김 대표는 “올 해는 넷마블이 재도약을 이루는 중요한 변곡점의 시기”라며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일곱 개의 대죄: Origin’ 등 총 9종의 신작 출시를 통해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 기반을 마련하고 아울러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더 견고히 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

시프트업은 ‘승리의 여신: 니케’의 중국 출시를 앞두고 텐센트와의 협업을 통해 현지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콘솔 히트작 ‘스텔라 블레이드’로 글로벌 인지도를 끌어올린 시프트업은 차기작 ‘프로젝트 위치스’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노린다.

데브시스터즈는 ‘쿠키런’ IP를 기반으로 대형 프로젝트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글로벌 브랜드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조길현 대표는 “쿠키런 IP를 중심으로 데브시스터즈를 글로벌 IP 퍼블리셔로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넥슨게임즈는 ‘던전앤파이터: 아라드’, ‘프로젝트 RX’ 등 신작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콘솔·멀티플랫폼 전략을 통해 서구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네오위즈는 ‘P의 거짓’ 글로벌 흥행을 기반으로 매년 1개 이상 자체 IP 기반 게임 출시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콘솔 기반 IP의 확장성과 글로벌 팬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P의 거짓’ DLC 및 후속작도 예고했다.

펄어비스는 ‘검은사막’ IP의 생명력을 연장하고, 4분기 출시 예정인 ‘붉은사막’을 통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콘솔 시장을 타깃으로 마케팅 일정을 앞당기며 흥행 드라이브에 들어갔다.

관련기사

위메이드는 기존 IP의 글로벌화와 함께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버전을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박관호 대표는 “국내보다 글로벌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며 일본과 북미 시장 확대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주총을 통해 드러난 각사의 전략은 단기 실적보다 장기적인 IP 경쟁력과 글로벌 확장을 중시하는 흐름으로 요약된다”며 “콘솔, 서구권, 신규 장르 등 다양한 방향으로 리스크를 분산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