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순환경제 기업 수퍼빈은 한국환경공단과 무인 회수기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고품질 무색 페트병 선별·회수 기반을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재생원료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이뤄졌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페트병 분리배출 제도의 정책 효과를 극대화해, 기존 폐기물 선별장의 의존도를 낮추고 페트병 회수율과 재활용 효율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공단은 무인회수기 운영 성과 및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 사례의 국내외 전파와 자원순환 교육과 정책 홍보를 담당한다.
수퍼빈은 AI 기반 무인회수기 네프론의 기술 고도화, 고품질 팰릿 재생원료 생산 체계 확산, 국내외 세미나를 통한 K-순환경제 성공사례 및 기술 공유와 자문 등을 수행한다.
공공의 정책 개발과 지원, 민간의 기술이 결합된 이번 협력으로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 사업 모델이 더욱 확산되고 완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삼정KPMG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은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퍼빈은 무인 회수기 네프론과 각 지역의 대면회수 서비스, 자원순환가게 등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전국 216개 지자체 중 136곳에서 재활용품 회수 및 보상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수집된 페트 재활용품은 자체 공장을 거쳐 고품질 재생원료로 재탄생한다. 최근 국내 화장품 브랜드 아로마티카는 수퍼빈의 재생원료로 화장품 용기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관련기사
- "지속 가능한 해답은 '순환경제'…피할 수 없다면 정면 돌파해야"2024.11.29
- "페트병, 식품용기로 다시 써야…의무화 규제 필요"2024.10.14
- [르포] 페트병 1만톤 새 생명 불어넣는 공장2024.03.24
- 수퍼빈, LX와 순환자원 회수 협약2024.11.22
김정빈 수퍼빈 대표는 "공단과 협력해 더 많은 고품질 플라스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확보한 원료를 바탕으로 재생원료 생산을 확대해 국내 소재산업이 필요로 하는 공급망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수퍼빈은 국내 플라스틱 순환경제 사례로 영국 로이터통신이 선정하는 지속가능어워드 순환경제 부문에서 레노버, 듀폰 등을 제치고 수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