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셀로나(스페인)=박수형 기자] 글로벌 통신 업계에서도 오일머니 바람이 불기 시작한 듯이 보인다. 통신장비 선두 주자인 화웨이를 비롯해 ZTE, 레노버, 샤오미, 아너 등이 영향력을 넓히면서 MWC에서 중국 입김이 거세게 작용했는데 막강한 자본을 거느린 중동 지역의 통신사들의 존재감이 점차 떠오르고 있다.
GSMA에 따르면 올해 11월에 카타르에서 MWC25 도하를 개최한다. 카타르 국왕이 직접 나서 GSMA와 계약을 체결했고, 올해부터 5년간 MWC를 개최하는 내용에 합의했다.
MWC는 연초 바르셀로나에서 가장 크게 열린다. 중국이 한때 MWC 개최를 노렸으나 바르셀로나시 당국과 유럽 지역 회원사의 견제로 1분기에 바르셀로나에서 MWC 메인 행사 개최를 유지하고 2분기에 중국에서 MWC 상하이, 3분기에 로스앤젤레스와 라스베이거스 등에서 MWC 아메리카가 열리게 됐다.

그런 가운데 4분기에 중동 지역에서도 MWC 개최가 결정된 것이다. 즉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메인 MWC 외에 중국과 미국에 이어 중동이 글로벌 통신업계에서 영향력을 가져가게 됐다는 설명이다. 통신사 가입자 규모나 글로벌 영향력을 고려하면 인도도 막강한 국가로 꼽히지만 MWC만 한정해 보면 중동이 한발 앞선 모습이다.
관련기사
- 한번 접고 또 접고..."접히는 화면으로 뭘 하지?”2025.03.05
- 원격관제 로봇이 AI를 품었다...휴머노이드 발전 가속도2025.03.05
- LGU+ AI 에이전트 '익시오' 중동 진출2025.03.05
- 유상임 장관, 美FCC 위원장 만나 6G-AI 협력키로2025.03.04
중동 지역에는 다국적 통신사인 이엔그룹과 자인그룹의 영향력이 큰 편이다. 이엔그룹은 SK텔레콤과 AI 얼라이언스를 맺고 있고 MWC 바르셀로나 메인 전시장인 피라그란비아 3홀 전시관을 꾸리고 있다. 자인그룹은 올해 MWC에서 LG유플러스와 AI 서비스 중동 진출 협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지게 됐다.
카타르에는 우레두(ooredoo)와 다국적 통신사인 보다폰이 대표적인 통신 사업자로 있다. 연내에 3G 통신을 종료하고 관련 장비와 단말 수입을 즉시 금지하는 등 전향적인 디지털 정책을 펴는 나라다. 특히 지난해 피파 월드컵 개최에 이어 디지털 경제를 구축하는 목표로 국가 비전 2030을 실행하고 있다. 중동 지역 내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와 경제 문화적 우위에 서기 위한 경쟁이 활발한 나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