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스트, 美 정부·빅테크 권장에도 확산 더뎌

사용처 부족·복잡성으로 인한 높은 진입장벽 존재

컴퓨팅입력 :2025/02/21 09:53

보안상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래밍 언어 러스트의 사용률은 기대만큼 증가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를 비롯해 주요 빅테크에서 보안 강화를 이유로 러스트 사용을 권장하고 있지만, 부족한 사용처와 복잡성으로 인한 어려움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21일 더레지스터 등 외신에 따르면 러스트 설문조사팀은 '2024년 러스트 상태 설문조사(State of rust Survey)' 결과를 공개했다.

설문 조사 결과 러스트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어려움이 꼽혔다(이미지=러스트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조사를 참여한 개발자가 2023년 1만1천950명에서 9천450명으로 줄었으며 설문을 완료한 응답자는 개발자는 9천710명에서 7천310명으로 더 감소했다.

러스트 설문 조사팀은 약 한 달에 걸쳐 진행한 2023년에 비해 2024년은 2주로 제출 기간이 짧아지면서 응답자가 줄었다고 밝혔다. 다만 이런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미국 정부와 주요 빅테크에서 러스트의 사용을 독려함에도 실제 사용률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러스트의 사용률 정체는 다른 조사에서도 확인됐다. 스택오버플로의 개발자 설문조사에서도 2024년 러스트 사용률이 12.6%로, 전년도의 13.05%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스트의 사용률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여전히 높은 학습 난이도가 지적됐다. 응답자 중 30.6%가 배우기가 너무 어렵거나 학습하는 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고 답했다. 이는 2023년 30.9%와 거의 동일한 수치다.

개발에 필요한 기능나 라이브러리가 부족해 실제 업무 환경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히 시스템 프로그래밍, 임베디드 시스템, 비동기 프로그래밍 등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부각됐다.

아직 충분한 활용처가 없는 것도 러스트의 확산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러스트 개발자들이 더 이상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꼽은 것도 활용할 기회가 없다는 답변이 36%로 1위를 기록했다.

45.7%를 기록한 전년 대비 10% 가까이 개선된 수치지만 여전히 실제 업무 환경에서 러스트의 활용 비율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C와 C++ 등 기존 언어와의 호환성 또는 다른 언어를 선호하는 개발자와의 의견 충돌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대표적으로 리눅스 커널의 경우 안정성 향상을 위해 러스트 도입을 시도했지만 일부 개발자들의 반대로 인해 도입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커널 유지 관리자 크리스토프 헬위그가 러스트를 기존에 작성한 C언어 코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마치 '암적인 요소(cancer-like thing)'와 같다고 비판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러스트의 보안성과 성능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복잡성과 학습 곡선으로 인해 사용률이 기대만큼 증가하지 않는 상황이다. 더 넓은 확산을 위해서는 학습 진입장벽을 낮추고 저변 확대를 위한 개선이 필요한 상황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다만 러스트의 언어에 대해선 긍정적인 반응이 다수를 이뤘다. 러스트의 장점에 대한 중복 설문 결과 목표 달성에 도움을 준다는 답변이 77.9%를 기록했으며 비용 대비 가치가 있다는 답변이 71.2%를 기록했다. 또 작성한 코드의 버그가 적다는 답변이 61.4로 나타났다.

러스트 팀은 "설문 조사에 참여하고 도움을 준 모든 이들에게 감사하다"며 "매년 진행하는 상태 조사 결과를 통해 러스트 프로젝트와 생태계 전반에서 개선이 필요한 분야를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