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다스그룹은 지난 18일 판교 본사에서 '생성형 AI시대, 사람경영과 HR 혁신'을 주제로 '2025 사람경영포럼'을 개최,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포럼은 경영자를 위한 평생학습 커뮤니티 ‘제이캠퍼스(정구현 원장)’ 회원사를 초대해 진행했다.
풀무원, LS MnM, 고영테크놀러지 등 국내 주요 기업 대표와 경영진, HR리더 5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에는 생성AI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인재상과 혁신적인 HR 솔루션이 제시됐다. 특히 마이다스그룹이 강조하는 역량 중심의 인재 채용과 육성 방안은 참석 기업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
마이다스그룹 사람경영총괄 최원호 대표는 첫 발표 세션에서 생성형 AI 시대의 채용 패러다임 전환을 제시했다. "기업은 지금까지 학력, 자격증, 어학점수 등 스펙과 인적성 및 면접으로 인재를 채용해왔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실제 성과를 내는 인재를 찾을 수 없다"고 진단하며 "챗GPT 등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기존 채용 방식의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마이다스그룹이 20년 간 연구개발한 신경과학 기반의 성과역량 예측 솔루션 '역량검사'를 소개했다.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성과를 내는 핵심 역량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조직 적합성과 성과 잠재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며 새로운 채용 패러다임의 실현 방안을 제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 마이다스그룹 기술개발총괄 신대석 대표가 생성형 AI 시대에 맞는 새로운 인재상을 조명했다. "거대언어모델(LLM)은 언어처리와 지식학습, 추론능력에서 혁신적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인간 고유의 동기와 욕망, 창의적 지혜, 메타인지 영역에서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면서 "생성형 AI가 사람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하겠지만, 생성형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역량이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신 대표는 AI 시대의 핵심 경쟁력으로 지식이 아닌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바람직한 태도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 상호작용이 좋은 관계와 성과를 만들고, 이는 다시 성공경험이 되어 기업 성장의 선순환을 이룬다"며 미래 인재의 3대 핵심 역량으로 소통기술을 통한 '협동력', 전략기술을 통한 '창의력', 성찰기술을 통한 '메타력'을 제시했다. 이어 목적 중심의 소통, 성과 중심의 전략, 합리 중심의 성찰을 강화하는 '에이치닷 온보딩(H. 온보딩)' 솔루션을 소개하며, 올해 상반기 출시 계획을 밝혔다.
이어 마지막 세션에서 마이다스그룹 이형우 회장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혁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우리 사회에 존재해온 '좋은 성적=좋은 학교=좋은 직장=좋은 인생'이라는 성공에 대한 왜곡된 통념을 언급하며 "풍요로운 세상을 만드는 주체는 기업이고, 경제는 사회의 기반이다. 따라서 기업이 바로서야 사회가 바로 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혁명을 통해 인류와 사회가 얼마나 진보를 해 왔는지를 소개하며, 기업의 본질은 세상에서 가장 선(善)한 실용적 가치를 만드는 존재임을 강조하고, 기업가정신 핵심으로 창의적 혁신, 불굴의 열정, 사회적 실용을 제시했다.
이어 "이제 기업이 먼저 채용 패러다임을 전환함으로써 역량기반의 사람중심 경영으로 혁신하고, 학교 교육 또한 역량기반 교육으로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궁극적으로는 역량 기반의 사람중심 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기업이 스펙이 아닌 역량 중심으로 인재를 채용하고 육성할 때, 교육도 자연스럽게 변화할 것이고, 이는 결국 모두가 평등한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사회로 나아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며 채용 혁신을 통한 경영 혁명과 교육 혁명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포럼에서 제시된 새로운 관점과 해결방안에 공감을 표했다. 풀무원 김지홍 DX전략 담당 상무는 "생성형 AI 기술이 발전해도 결국 사람이 답이라는 포럼의 핵심 메시지가 깊이 와닿았다"며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사람을 더 이롭게 하는 솔루션의 철학이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채용부터 온보딩, 역량 강화에 이르기까지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온보딩 솔루션'이 매우 흥미로웠다"고 덧붙였다.
에이앤유디자인그룹 이지형 인사지원실장은 "인간의 기본 습성과 신경과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HR 접근법이 매우 인상적이었다"며 "이러한 과학적 사고 기반의 HR 솔루션은 실제 기업 현장에서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관련기사
- 마이다스아이티가 10년만에 선보인 신제품 'Civil NX' 시선2023.11.14
- 이형우 마이다스아이티 회장, 부산 센텀시티서 '사람이 답이다' 주제 특강2023.02.21
- '4조 클럽' 가입에도 축포 못 쏘는 롯데칠성·웰푸드…왜2025.02.21
- "아이폰16e은 애플의 중대한 실험"2025.02.22
한편, 이번 '사람경영포럼'은 개인의 행복을 돕는 인생혁명, 기업의 성장을 돕는 경영혁명, 사회의 혁신을 돕는 교육혁명을 목표로 운영되는 리더스 포럼이다. 사람 중심 경영을 추구하는 국내 주요 기업의 대표, 경영진, HR리더들이 참여한다. 다음 사람경영포럼은 오는 3월에 개최할 예정이다.
포럼을 주최하는 마이다스그룹(마이다스아이티, 마이다스인, 자인원, 자인연구소 등)은 건설 분야 공학 소프트웨어 세계 1위 기업으로, 현재 140개국에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수출하고 있다. 또한 HR 솔루션 분야 국내 1위 기업으로, 역량검사, 매칭 서비스, 성과경영, 인사평가, 역량진단 등을 3000여 개 기업에 제공했다. 관련 서비스는 HR 통합 플랫폼 '에이치닷(H.)'에서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