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현지시간) 미국 증시
▲다우존스산업평균(다우)지수 전 거래일 대비 0.16% 상승한 44627.59.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 지수 전 거래일 대비 0.24% 상승한 6144.15.
▲나스닥 지수 전 거래일 대비 0.07% 상승한 20056.25.

▲S&P500 지수는 관세와 금리 인하 축소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다시 사상 최고치 경신.
▲양자 컴퓨팅 칩 최초 공개한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1.3%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수입 자동차와 집, 의약품에 25% 관세 부과 예고. 4월 2일 시행될 수 있다고 밝혀. 구체적인 안은 밝히지 않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1월 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 의사록에 따르면 대다수 위원들이 높은 불확실으로 통화정책 결정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 트럼프 정부 2기의 무역·이민정책이 물가에 미칠 영향 주목. 당시 트럼프 정부의 정책 세부안이 나오지 않았던 상태였지만 일부 기업들이 관세에 따른 비용 상승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할 것이라고 우려. 공급망 교란과 강한 소비지출도 위험 요인이라고 지목.
관련기사
- 농협은행의 중앙회 배당…이복현 "거위 알 먹냐, 배 가르냐 차원"2025.02.19
- 이복현,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에 '회피'보단 '책임' 방점 요구2025.02.19
- 이복현 "은행 서류 조작 대출, 금감원 용인하기 어려운 수준"2025.02.19
- 토스뱅크, 650만명이 지금 이자 받아갔다2025.02.19
▲기존 제약적(현행 수준 4.25~4.50%) 수준을 유지하면서 물가가 2% 목표를 향해 하락할 것으로 전망. 다만 연초 계절조정으로 인플레이션 데이터 해석이 평소보다 어려울 수 있으며 향후 정책 조정은 경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부연. 경제전망에 대해서는 규제 완화의 세재 개편 효과를 기대하며 낙관적으로 판단.
▲미국 정부효율부가 연방정부 지출서 550억달러를 절감했다고 발표. 다만 550억달러 중 내역이 공개된 금액은 166억달러에 불과해 실적이 부풀려졌다는 지적도 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