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높여라"…롯데웰푸드, 제과사업 힘준다

신동빈 회장, 인도 공장 준공식·이사회 참석 등 관련 사업 직접 챙겨

유통입력 :2025/02/10 16:41    수정: 2025/02/10 16:53

롯데웰푸드가 그룹 모태인 제과 사업에 힘을 주고 있다. 신동빈 롯데 회장까지 나서 관련 사업을 챙기면서 수익성 개선을 위한 핵심으로 제과를 낙점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웰푸드는 최근 신라명과와 충북 증평군 도안면에 위치한 제빵사업부 증평공장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증평공장 매각은 자산 효율화 일환으로 진행됐다.

지난 2022년 롯데제과가 롯데푸드를 합병해 출범한 롯데웰푸드는 합병 후 제빵, 빙과 등 일부 중복 생산 시설을 대상으로 생산 설비 효율화와 생산 품목 조정 등을 진행해왔다. 이에 증평공장은 지난해 6월부터 운휴 상태에 있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왼쪽 두번째)이 지난해 11월 8일 가나 수훔(Suhum)지역의 카카오 농장을 방문해 카카오 재배 환경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는 모습. (제공=롯데지주)

생산 설비 효율화 따른 금액, 글로벌 사업 확정에 활용

매각 금액은 비밀유지 의무에 따라 공개되지 않지만, 이번 매각으로 마련한 자금을 글로벌 사업 확장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일환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당시 롯데웰푸드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하면서 자기자본이익률(ROE)을 8~10%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글로벌 매출 비중을 35% 이상으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면서 국내 수익성 개선을 위해 ▲헬스&웰니스 넘버원 지위 강화 ▲프리미엄 브랜드 강화 육성 ▲제과 분야의 새로운 영역 개척 등을 주요 목표로 세웠다.

다만 제빵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 계획은 제시하지 않았다. 롯데웰푸드는 현재 ‘기린(KIRIN)’ 브랜드로 제빵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로 편의점 등에 상품을 유통하고 있다.

제빵 사업의 시장점유율은 높지 않다는 평가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소매점 매출 기준 롯데웰푸드 점유율은 9.8%에 그쳤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제과 기업으로의 도약을 주로 강조했다. 신시장으로 꼽은 인도에서는 건·빙과사업 통합에 따라 종합 제과회사로 도약하겠다는 방침이다.

롯데웰푸드 사옥 전경

신동빈 회장 "새로운 시각에서 사업모델 재정의하고 사업조정 시도해야"

일각에서는 수익성 강화를 주문한 신동빈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신 회장은 지난달 열린 상반기 VCM(옛 사장단회의)에서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유형자산 매각, 자산 재평가 등 다양한 방안을 시행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사업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로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어 “과거 그룹의 성장을 이끈 헤리티지가 있는 사업일지라도 새로운 시각에서 사업모델을 재정의하고 사업조정을 시도해달라”고 요청하며 그룹 성장을 위해 해외 시장 개척을 중요한 목표로 꼽았다.

이를 위해 신 회장은 롯데웰푸드를 주요 돌파구로 낙점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부터 각종 롯데웰푸드 해외 출장에 동행하면서 식품 사업에 힘을 싣고 있기 때문이다.

신 회장은 지난해 10월 이영구 롯데 식품군 총괄대표 사장과 이창엽 롯데웰푸드 대표와 함께 아프리나 가나 출장길에 올랐다. 당시 이상기후로 작황이 부진해 카카오 가격이 오르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자 가나 수훔 지역의 카카오 농장을 찾아 주력 상품 수급을 점검했다.

올해 첫 출장도 롯데웰푸드 사업이었다. 지난 6일(현지시간) 인도 서브 지역 푸네시의 하브모어 푸네 신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신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도 동행했다.

관련기사

게다가 인도에서 귀국한 직후인 1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롯데웰푸드 본사에서 진행된 이사회에도 참석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사내 등기이사이기 때문에 정기 이사회에 참석한 것”이라며 “이전에도 직접 참석 혹은 화상으로 항상 이사회에 참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에 제빵사업의 매출은 그렇게 크지 않았던 상황”이라며 “합병 이후 17개의 제빵공장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효율성 차원에서 매각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