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애널리시스(SemiAnalysis)가 지난달 31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딥시크의 V3 모델 학습 비용이 600만 달러(약 78억원)로 알려졌으나, 이는 단순 사전학습 비용일 뿐이다. R&D, 하드웨어 총소유비용(TCO) 등을 포함한 실제 비용은 이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확인된다.
현재 중국 AI 기업 딥시크는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로 세계 AI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저렴한 개발 비용이 화재가 되면서, 딥시크는 현재 클로드(Claude), 퍼플렉시티(Perplexity), 제미나이(Gemini)보다 더 높은 일일 트래픽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신생 기업의 성공을 넘어 AI 업계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고 해석된다.
딥시크는 약 5만대의 호퍼(Hopper) GPU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 H100 1만대와 H800 1만대를 포함하고 있으며, 중국 전용 모델인 H20도 다수 주문한 상태다. 서버 설비 투자 비용은 약 16억 달러(약 2조원), 운영 비용은 9억 4천만 달러(약 1조 2천억원)에 달한다.
또한,딥시크는 중국 내 최고 대학 출신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다. 유망한 인재에게는 연봉 130만 달러(약 17억원)까지 제시하며, 현재 약 15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세미애널리시스의 분석에 따르면, 딥시크는 다중토큰예측(Multi-Token Prediction, MTP)과 다중헤드잠재어텐션(Multi-head Latent Attention, MLA) 등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했다. 특히 MLA 기술은 기존 대비 메모리 사용량을 93.3% 감소시켰다. 현재 딥시크는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원가 수준의 추론(inferenc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엔비디아(NVIDIA)의 AI 가속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관련기사
- AI가 학생 글쓰기 첨삭했더니...6명 중 5명 실력 향상2025.02.03
- 오픈AI 'o3-미니' 뭐가 좋길래…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합니다2025.02.01
- 알파세대 70% "AI 신뢰"…부모 75%는 "부정적 영향 우려"2025.02.01
- '무죄' 이재용 사법리스크 해소...삼성 위기 극복 나서나2025.02.03
■ 기사는 클로드 3.5 소네트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 기사 원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