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페인 출하량이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치품 지출이 둔화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22일(현지 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프랑스 샴페인 협회(Comite Champagne)의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샴페인 총 출하량이 전년 대비 9.2% 감소한 2억7천140만병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팬데믹 봉쇄로 판매가 억제된 2020년을 제외하면 2001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https://image.zdnet.co.kr/2025/01/22/49962ce6ccbcfc2defc4ce3d48745007.jpg)
프랑스 샴페인 협회 공동 의장인 막슴 투바르는 성명을 통해 “샴페인은 소비자의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진정한 척도”라며 “인플레이션, 세계적인 갈등, 경제적 불확실성이 축하 분위기를 어둡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마트24, 앱에서 샴페인 클래스 패키지 선착순 판매2025.01.17
- 발란, '명품 뷰티' 시장 진출 통할까2025.01.16
- 고물가에 명품도 '중고' 선호2024.09.22
- 왜 아시아인들은 ‘명품 쇼핑’을 좋아할까2024.09.22
특히 프랑스 내 선적은 198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프랑스는 전체 샴페인 선적의 약 44%를 차지하고 있다.
럭셔리 샴페인인 뵈르 클리코(Veuve Clicquot), 볼린저(Bollinger) 등도 팬데믹 이후 회복세를 보였지만 이후 하락 전환했다. 이는 럭셔리 제품 산업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외신은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