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아시아인들은 ‘명품 쇼핑’을 좋아할까

미시간 대학 연구팀 "좋은 인상 주려는 집단주의 문화 때문"

유통입력 :2024/09/22 10:31    수정: 2024/09/23 11:22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개인용 사치품 소비시장으로 꼽힌다. 이들은 뉴욕, 밀라노, 파리와 같은 도시 등에서 럭셔리 쇼핑 시장을 키우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검소한 삶을 미덕으로 여기는 유교나 불교와 같은 전통적인 가치관과 종교관이 깊이 자리 잡은 아시아에서 왜 모순적으로 명품 쇼핑을 좋아할까. 연구 결과 종교적인 가치관을 넘어 동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집단에 녹아들려는 ‘집단주의’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명품 쇼핑 자료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PHYS.ORG, 기가진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미시간 대학교 로스 경영대학원의 라지브 바트라 마케팅학과 교수는 검소한 삶을 추구할 것 같은 아시아인들이 왜 더 명품 쇼핑을 좋아하는지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홍콩, 한국, 일본,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을 포함한 7개 아시아 시장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18~64세 소비자 3천 명 이상의 데이터를 사용해 ▲집단주의 ▲종교-전통 ▲검소함 ▲지위/물질주의적 소비 가치 등이 소비 선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저널 오브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스터디(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집단주의'는 네 가지 가치 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연구원들은 7개 아시아 시장과 같은 집단주의 사회는 종종 종교적 전통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고 밝혔다. 종교적 전통적 가치가 커지면 검소함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지위 소비나 사치품 소비가 줄어든다.

반면 집단주의는 지위를 높아보이게 하는 소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데, 이 같은 효과는 다른 가치들을 무시할 정도로 강력했다. 바르타 교수는 “아시아 소비자는 사치품 소비에 열정을 보이는 동시에, 검소함의 도덕적 미덕을 지지한다”고 설명했다.

모임 자료사진(제공=이미지투데이)

집단주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종종 사회 집단 의견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쓴다. 이 때문에 그들은 동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집단에 적응하기 위해 비싸거나 지위가 높은 품목을 구매하기도 한다. 또 지위 소비가 과시나 물질주의 등 부정적으로 여겨질 수 있는 서구의 개인주의 문화와 달리,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명품 소비가 집단 내에서 명예롭게 여겨져 선호될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원들은 분석했다.

바트라 교수는 “아시아에서 사치품 소비가 높고 또 증가하는 이유는 아시아인들이 점점 더 서구화되고 개인주의적으로 되고 있어서가 아니라, 집단주의자들이 지위 소비를 중시하고 이에 더 쉽게 빠져들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바트라 교수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마케팅 관점에서 참고할만 한 해설도 내놨다. 그는 “지위를 높이는 물건을 마케팅(광고)할 때 타깃이 되는 소비자가 더 젊고 글로벌하게 연결된 세대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사회적으로 내부 집단과 긴밀하게 연결된 나이 많고 보수적인 소비자도 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루이비통 백화점 매장

또 그는 소비자들의 가치관이 제품을 선택할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도 이번 연구가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예를 들어 지위 소비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소비자는 종종 자신의 소비가 다른 사람들에게 눈에 띄기를 원한다. 이들은 스타일, 브랜드 평판, 원산지와 같이 대중들에게 더 주목받는 제품 속성을 우선시하고 가격에 덜 민감하다. 반면 검소한 소비자는 내구성과 가성비에 더 큰 가치를 둔다.

바트라 교수는 “이 같은 특성은 마케터가 어떤 제품 속성을 강조할지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