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 이미 늦었다고 생각하지만, 지금이라도 정신을 차리고 미래를 위한 준비들을 차분히 해나갈 때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김용화 현대자동차 고문(전 최고기술책임자)은 지난 13일 한국공학한림원 미래모빌리티위원회 출범식에서 모빌리티 산업의 지형 변화를 소개하면서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언했다.
김 고문은 발표에 앞서 모빌리티 개념을 ‘사람과 사물의 이동을 위한 수단, 그리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라고 정리했다. 그는 “주목할 점은 사람만이 아니고 사물을 포함한다는 점”이라며 “자동차만이 아니고 넓은 의미의 이동수단을 의미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김 고문은 모빌리티의 혁신 동력을 ‘변화’라고 설명했다. 이 변화는 4차 산업혁명의 초지능·초연결·개인화 등 기술에서 시작됐다는 분석이다.
그는 “최근 이종산업이 모빌리티 업계에 진출하는 양상이 주목할 만하다. 자율주행차나 커넥티드카에서 ICT 기술을 융합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치열한 경쟁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누가 최후의 승자로 남을지 흥미진진하다”고 전했다.
김 고문은 다만 이런 변화가 급격하게 벌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큰 모빌리티 변화가 앞으로 수년 동안 점진적으로 일어날 것”이라며 “기존 모빌리티 패턴과 행동을 급격히 변경할 만큼의 제품과 서비스가 아직은 충분히 제공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고문은 “우리의 미래 방향으로 생각되는 스마트시티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모빌리티의 기술 발전과 사회적 역할, 사용자 중심의 접근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소비자 시장 사회적 관점으로 시각을 이동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긍정적으로 봐서 현재 모빌리티 사업들이 상품화 개발 단계를 지나고 있거나 근처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지금은 위기이긴 하지만 동시에 산업화를 준비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정부와 기업, 학계가 함께 단기적·장기적 관점에서 그 동안 해왔던 것들이 왜 안 됐는지 이유를 찾고 그 장애물을 극복하지 않는 이상, 우리는 계속 핑크빛 미래만 보고 가다가 망하는 스타트업과 다를 게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기술 측면 ▲생태계 측면 ▲고객 경험 측면에서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들에 대해 공유했다.
김 고문은 기술 측면에서 특히 인재 확보 문제를 꼬집었다. 그는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에 대해서 얼마나 핵심 인재를 보유하고 있고, 어떻게 육성하고,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가 매우 심각한 도전”이라고 말했다.
생태계 측면에서는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과거의 수직통합형 하도급 방식의 생태계는 더 이상 경쟁에서 이기기 어렵다”며 “파트너십보다도 개방적 협업기반 가치를 창출해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빅뱅 직전 '자율주행' 상용화, 시급히 법제도 마련해야"2025.01.14
- 한국공학한림원, 미래모빌리티위원회 출범…"글로벌 경쟁력 강화"2025.01.13
- 현대건설, 자율주행 로봇배송 상용화2025.01.14
- SK하이닉스, 엔비디아에 'HBM4' 조기 공급...6월 샘플·10월 양산할 듯2025.01.15
고객 경험에 대해서는 “디지털기술과 고객경험을 결합할 필요가 있다. 때로는 법 규정 혹은 사회적 합의를 이뤄내야 되는데 누가, 어떻게 할 것인가도 문제”라며 “스타트업이나 테스트베드 환경도 굉장히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이 요구하는 혁신이란 열린 시스템과 제도로 구조를 개조하고 세계와 연결을 통해 답을 찾고자 하는 연결행위”라며 “아직도 많이 닫혀있는 국내 산업계의 현실이 큰 장애물이다. 생각과 문화의 변화가 모빌리티 혁명을 불러올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