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공개(IPO)를 진행 중인 LG CNS의 중복상장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이미 상장된 대기업 IT 계열사들의 주주 구성도 주목 받고 있다. LG CNS의 상장이 모회사인 ㈜LG에 디스카운트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기존 상장된 경쟁사들의 움직임으로 볼 때 기우라는 지적도 나온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LG CNS의 최대주주는 ㈜LG로, 현재 지분 49.95%를 보유하고 있다. 2대 주주인 맥쿼리PE는 35%,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1.12%의 지분을 갖고 있다. 지주사 외에 구 회장이 가진 계열사 지분은 LG CNS가 유일하다.
LG CNS는 2월께 기업공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지은 후 마련된 자금으로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분야의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확보해 고객의 AX(AI 전환)를 선도할 것이란 의지를 보이고 있다. 회사 측이 예상하는 상장 후 시가총액은 6조원 수준으로, 이 중 약 400억원은 DX(디지털 전환)분야에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AI와 소프트웨어 분야의 전문회사 인수에 투입할 계획이다.
현신균 LG CNS 대표는 "IPO 상장은 LG CNS가 글로벌 무대에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LG CNS의 성공적인 코스피 상장이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인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회사 측은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상장은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보고 있지만, 일각에선 '중복상장'이라고 주장하며 LG CNS의 움직임을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다. 중복상장은 모기업이 이미 상장된 상태에서 또 다시 자회사나 계열사가 상장하는 개념으로, 기존 모회사의 가치를 희석시킬 수 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LG CNS의 상장은 모자(母子)회사 동시상장으로 인한 지주사 디스카운트를 유발한다"며 "2대주주 PE(프라이빗에쿼티)의 구주매출과 장내매도를 통한 엑시트(투자회수) 목적 외에 굳이 IPO를 해서 모자회사 중복상장으로 인한 모회사 디스카운트를 유발할 이유가 있나"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LG전자, LG화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HS애드 등 주요 자회사들은 이미 모두 상장돼 있고,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디앤오, LG경영개발원, LG스포츠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LG CNS가 ㈜LG의 유일한 대규모 비상장 자회사"라며 "LG CNS 상장 이후에는 LG CNS에 직접 투자하면 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LG 주식을 살 이유가 없어진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LG 측의 생각은 다르다. 회사가 특정 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단기간에 상장함으로써 기존 모회사 주주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아니라는 입장에서다. LG CNS는 1987년 미국 EDS와 합작법인으로 출발한 곳으로, LG화학에서 분리된 LG에너지솔루션 사례처럼 일부 사업부를 떼어내 물적 분할한 뒤 상장시키는 것과는 다른 사례로 평가된다.
이현규 LG CNS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중복상장은 회사가 특정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서 짧은 기간 내 상장하면서 모회사 주주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라며 "그러나 우리는 1987년 미국 EDS와 합작해 만들어진 회사로, ㈜LG에서 물적 분할된 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중복상장을 한다고 볼 수 없다"고 못박았다.
이어 "이번 상장을 통해 오히려 기존 대주주인 ㈜LG의 주주들에게 기업 가치 제고를 통해 이익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도 LG CNS의 상장에 대한 잣대가 너무 가혹하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LG CNS가 피어그룹으로 삼은 경쟁사들도 모회사들과 별개로 이미 상장돼 있어서다.
실제 삼성SDS의 경우 주요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지분 22.58%를 들고 있는 최대주주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모친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도 삼성SDS의 지분을 각각 9.2%(711만8천713주), 0.0%(3천233주)를 직접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이 외에 계열사인 삼성물산이 17.08%, 삼성생명이 0.08%의 지분을 갖고 있다.
현대오토에버 역시 최대주주는 모회사인 현대자동차다. 이곳이 가진 현대오토에버의 지분은 31.59%다. 계열사인 기아, 현대모비스는 각각 16.24%, 20.13%의 지분을 갖고 있으며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도 7.33%(201만 주)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포스코DX, 롯데이노베이트는 모회사가 가진 지분이 절반을 넘는다. 포스코DX는 모회사인 포스코홀딩스가 65.38%, 포항공과대학교가 0.44%의 지분을 갖고 있다. 롯데이노베이트도 롯데지주가 66.10%나 되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비교 기업 중 모회사의 지분 비중이 가장 높다.
이에 LG CNS만 두고 중복상장을 논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으로 보는 시각도 많다. LG CNS가 성공적인 상장으로 밸류에이션이 상승하게 되면 모회사인 ㈜LG의 기업가치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는 이들도 있다.
LG CNS도 IPO 이후 배당성향을 더욱 높이는 등 주주친화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혀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현재 LG CNS의 배당성향은 40% 수준으로, 배당 확대는 ㈜LG 이익 증가로 이어진다.
관련기사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LG CNS)는 현재 장외에서 10조 원 수준의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다"며 "성공적인 상장은 지분가치 현실화와 구주매출을 통한 현금확보로 ㈜LG 주가를 상승시킬 요인"이라고 말했다.
엄수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IPO 직후 시가총액이 LG CNS의 순자산가치를 훨씬 웃돌 것으로 기대된다"며 "비상장 자회사 상장 시 적용될 할인율을 감안하더라도 LG CNS의 최대주주인 ㈜LG의 순자산가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