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양극재 수출액 1년새 절반 이하 ‘뚝’

전기차 캐즘 연중 지속…불황 장기화 대비

디지털경제입력 :2025/01/03 11:22

지난해 양극재 수출량이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배터리 업계 전반을 덮친 전기차 수요 성장 정체(캐즘)가 연중 지속된 탓이다.

새해는 신차 출시 등을 근거로 반등을 예상하는 시선도 있는 반면, 각국 정책과 국제 정세 등 시장 불확실성 요인들 탓에 당분간 유의미한 성장은 어렵다는 비관론도 나온다. 각사가 납품하는 전기차 OEM의 상황에 따라 올해 사업 전망이 엇갈리는 분위기다.

3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니켈코발트망간(NCM) 양극재 수출액은 42억8천524만 달러,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극재 수출액은 16억5천209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NCM 양극재 수출액 95억2천257만 달러, NCA 양극재 수출액 29억1천598만 달러와 비교하면 NCM 양극재는 절반을 밑돌았다. NCA 양극재도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연도별 양극재 수출 실적(제작=박은주 디자이너)

지난해 전기차 캐즘 여파를 직격으로 맞은 탓이다. 배터리 업계 예상과 달리 전기차 캐즘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로도 이어졌고, 전기차 OEM들이 잇따라 투자 계획을 축소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배터리 수요가 줄어들면서 배터리 소재, 원재료인 광물 수요도 감소해 판가가 하락했고 이는 대규모 재고평가손실도 초래했다.

우리나라 업계의 전략 시장인 미국에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되면서, 향후 전기차 정책 후퇴에 따른 성장율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유럽은 새해 탄소 배출 규제 강화로 전기차 보급에 보다 속도가 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지만, 가시적인 시장 지표 변화 없인 이마저도 확언하기 어렵다는 게 업계 대체적인 의견이다.

올해 전망에 대해선 업체별 의견 차가 나타났다. 각사 납품 대상인 전기차 OEM의 신차 출시 계획과 판매 실적이 고려된 분석이다. 다만 긍정 의견도 전년 기저효과를 감안한 것으로, 캐즘 해소를 상정한 것은 아니다.

양극재 원료와 배터리 사진 (왼쪽부터 리튬, 원통형 배터리, 니켈, 양극재, 코발트)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실적이 많이 악화됐지만, 그에 비해 올해는 전기차 OEM의 실적이 개선되면서 양극재 판매량도 전년 대비 상당히 반등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반면 업계 다른 관계자는 “현재로선 시장이 살아날 시점을 예측하긴 어렵다”며 “배터리 소재 기업 대부분 작년보다도 올해 상황이 더 좋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관계자는 “시장 불확실성이 크고, 유럽 시장 반등 가능성도 크게 보고 있진 않다”며 “전기차 판매량이 다소 늘어날 순 있겠지만, 업계가 캐즘을 겪으면서 긴축한 여파가 단번에 가시진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실제 업계는 계획보다 투자 규모를 줄이며 불황 장기화에 대비해왔다.

지난 11월 에코프로는 양극재 생산능력(CAPA) 71만톤 달성 시점을 기존 2027년에서 2030년으로 3년 연기했다. 엘앤에프도 2027년 기준 CAPA 40만톤 달성 계획을 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LG화학도 지난 7월 양극재 CAPA 목표치를 2026년 기준 28만톤에서 20만톤으로 하향했다. 포스코퓨처엠도 지난 4월 2026년 양극재 CAPA 목표를 44만5천톤에서 39만5천톤으로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