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에서 개인 의료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사이버보안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30일 엔가젯 등 외신은 미국 정부는 최근 사이버 공격으로 발생한 민감 의료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발표했다.
미국 앤 누버거 국가안보 부보좌관 겸 사이버·신기술 담당은 "대규모 의료정보 유출 사례를 고려했을 때 향후 의료 데이터 보호법에 새 정책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누버거 부보좌관 발표에 따르면 미국에서 지난해 기준 사이버보안 사고로 인해 미국 내 1억6천700만명 넘는 의료정보가 유출되거나 피해 봤다. 이는 2019년 이후 해킹과 랜섬웨어로 인한 대규모 의료정보 유출 사건 비율보다 각각 89%와 102% 늘었다.
누버거 부보좌관은 "이 중 가장 문제 되는 것은 병원 해킹과 의료 데이터 해킹"이라며 "향후 미국인 의료 데이터와 정신 건강 정보가 다크웹에 유출돼 개인을 협박하는 데 사용될 가능성 높다"고 지적했다.
그는 데이터가 유출돼도 접근할 수 없게 암호화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네트워크가 사이버보안 규칙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증 필요성도 제기했다.
관련기사
- 윈도11 24H2 설치 파일, 보안 업데이트 차단 버그 발견2024.12.29
- 위협 인텔리전스 강화 나선 안랩…OT/ICS 특화 콘텐츠로 보안 역량 제고2024.12.27
- 삼정KPMG, 청소년 대상 사이버 보안 교육 실시2024.12.26
- 에버스핀, 한화손보 고객 웹서비스 보안 책임진다…‘에버세이프 웹’ 공급2024.12.26
미국 보건복지부(HHS)가 이런 정책을 진행하려면 첫해 약 90억 달러(약 13조2천600억원)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2~5년까지 매년 약 60억 달러(약 8초8천억원)가 들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누버거 부보좌관은 "정부는 사이버보안을 개선해 모든 사람의 의료정보를 더 안전하게 만들 것"이라며 "최종 결정이 내려지기 전 60일 동안 공공 의견 수렴 기간을 거칠 계획"이라고 밝혔다.